정치 통일·외교·안보

'위험수위' 한미관계...정상회담 난기류

트럼프 '사드 지연' 격노했지만

文정부 기본 입장은 변함없어

靑, 문정인 특보 발언엔 경고

한미 정상회담이 열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한미관계가 위험수위에 도달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9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기 전에 고고도미사일방체계(THAAD·사드) 등 민감한 현안을 조율하지 못할 경우 자칫 정상회담이 매끄럽지 않게 전개될 수 있다는 지적이 외교가에서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10면

17일 미국 워싱턴 정가 소식통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과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으로부터 주한미군 사드 배치 지연에 대한 보고를 받고 크게 화를 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가 다음날 “한미동맹 차원에서 결정한 것을 근본적으로 바꾸지는 않겠다”고 진화에 나선 것도 이 같은 백악관의 기류를 파악한 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사드에 대한 문재인 정부의 기본입장은 환경영향평가 등 국내법적 절차를 준수하겠다는 것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조기에 사드를 배치하고 비용도 한국이 부담하는 게 옳다는 입장이어서 정상회담에서 양측이 충돌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관련기사



여기에 문정인 청와대 통일외교안보특보가 16일 워싱턴에서 열린 한 세미나에서 “북한이 핵·미사일 실험을 중단하면 한미 합동군사훈련과 한반도의 미국 전략무기를 축소할 수 있다”는 취지로 말한 후 미국 측이 한층 더 예민해진 상태라고 외교가는 전했다.

상황이 이렇자 청와대는 한국시간으로 19일 문 특보의 발언에 대해 “개인의 아이디어이며 문 대통령과 사전조율 없이 나온 발언”이라고 해명에 나섰다. 청와대는 미국에 있는 문 특보에게도 연락해 “한미 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엄중 경고했다고 밝혔다.

/맹준호·박형윤기자 next@sedaily.com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