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설계 인허가를 받아야 하는 5년 동안 개발해야 할 핵심 기술만 5개다. 해체 공정의 난이도를 평가하고 원전 해체에 따른 안전을 진단하는 기술들이 포함돼 있다. 원전 내 수조에 보관돼 있던 핵연료가 외부로 반출되는 5년 뒤에는 원전 시설물에 묻은 방사능을 닦아내는 ‘유기착화성 화학제염’ 기술을 확보해야 하고 원전 시설물을 해체하기 위한 ‘원격 조작·취급·제어 기술’도 필요하다. 부지 복원과 관련된 기술들은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았다고는 하지만 필요한 6개 상용화 기술이 모두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원전 해체를 담당하는 한국수력원자력은 원전을 해체하는 기간인 16년 동안 해당 기술들을 모두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 한수원의 한 관계자는 “현재 개발되지 않은 17개 기술들은 원전 해체와 관련해 핵심 기술들이기는 하지만 개발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는 기술들”이라며 “앞으로 본격적인 해체까지 5년이라는 기간이 남아 있기 때문에 기술 확보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러한 시각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노동석 에너지경제연구원 원자력정책연구실장은 “우리보다 원전 기술이 더 뛰어나다고 평가 받는 일본도 원전을 해체할 때 독자적으로 하지 못하고 해외에서 기술을 들여오고 기간도 30년을 잡았다”면서 “시험실에서 개발된 기술을 실증 없이 원전 해체에 도입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보이고 처음 원자력발전소를 지을 때 해외에서 기술을 배웠듯 기술력이 있는 해외 원전 해체 관련 기업들의 협조를 얻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구 정지된 고리1호기는 앞으로 △해체계획서 마련 및 승인(5년) △사용후핵연료 냉각 및 반출(8.5년) △시설물 본격 해체(8.5년) △부지 복원(2년) 등 폐로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 모든 과정을 2032년 12월까지 끝낸다는 계획이다. 한수원은 이에 대한 비용을 6,437억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사회적 갈등 비용과 해외 사례를 참고하면 1조원 이상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