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HIV 감염인 4명 중 1명 "감염 이유로 수술 거부당해"

2015년 12월 1일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제28회 세계 에이즈의 날 캠페인’ 참석자들이 HIV 감염인 차별 금지를 주장하며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연합뉴스2015년 12월 1일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제28회 세계 에이즈의 날 캠페인’ 참석자들이 HIV 감염인 차별 금지를 주장하며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연합뉴스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인 네 명 중 한 명은 HIV에 감염됐다는 이유로 예약된 수술을 거부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결과 드러났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사)장애여성공감이 지난해 5∼11월 HIV 감염인 20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용역조사 결과, 조사 대상의 26.4%가 “HIV 감염 사실을 확인한 의료진에게 이미 예약된 수술을 기피 또는 거부당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의료기관 규모별로 보면, 동네의원이 17.3%, 중소병원 14.4%, 대형·종합병원 8.2%로 규모가 작은 병원일수록 차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과 정신과의 의료서비스 거부 비율은 각각 3.4%와 1.9%로 확인됐다.


응답자의 21.6%는 의료진이 동성애 등에 대한 혐오발언을 했다고 답했고, 담당 의료진이 타 의료인에게 감염 사실을 누설한 적 있다고 답한 비율도 21.5%에 달했다.

관련기사



감염예방을 위해 의료진이 치료·시술·입원 시 별도의 기구나 공간을 사용하도록 했다는 응답은 40.5%였다. 의료진이 차트에 감염인임을 명시한 경험을 했다는 감염인은 27.7%, 처방전에 감염인이라고 적힌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도 26.5%나 됐다.

HIV 감염인들은 이같은 이유로 병원 방문 시 HIV 감염 사실을 밝히기를 꺼린다고 조사됐다. 조사 대상의 76.2%는 ‘다른 질병으로 병원에 갈 때 HIV 감염인임을 밝히기 어렵다’고 답했다.

10년 전과 비교해 의료기관의 차별이 ‘대체로 또는 크게 개선됐다’는 답변은 43.9%였다. ‘별 변화가 없다’(37.1%)보다 높았다. 연구진은 이를 두고 차별이 조금씩 개선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