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문 대통령 "하반기부터 공무원, 공공부문 '블라인드 채용제' 실시해달라"

22일 수보회의서 "실력 공정경쟁토록 당장 시행"주문

학벌, 출신지 등 차별 요인 이력서에 기재 말라 당부

'민간대기업'에도 블라인드 채용제 적용 권유 발언키도

혁신도시 공공기관엔 최소 30% 지역인재 채용 요청

문재인 대통령은 22일 “이번 하반기부터 공무원이나 공공부문 채용할 때 블라인드 채용제를 실시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면서 “추가경정예산안이 (국회에서) 통과될 경우 하반기에 공무원이나 공공부문에서 추가 채용이 있을 수 있지 않겠느냐”며 이 같이 말했다. 또한 “혁신도시 사업으로 지역으로 이전된 공공기관들이 신규 채용할 때는 지역인재를 적어도 30%이상은 채용하도록 지역인재채용할당제를 운영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블라인드 채용방식에 대해 구직이력서에 학벌, 학력, 출신지, 신체조건 등의 차별적 요인들을 일체 기재하지 않도록 해달라고 주문했다. 특히 “명문대 출신이나 일반대 출신이나, 서울에 있는 대학 출신이나 지방대 출신이나 똑같은 조건, 똑같은 출발선에서 오로지 실력으로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게 이번 하반기부터 당장 시행했으면 한다”고 문 대통령은 당부했다. 민간부문의 채용에 대해선 블라인드 채용을 강제할 수 없지만 ‘민간 대기업’들에게도 권유를 하고 싶다는 발언이 곁들여졌다.

관련기사



지역인재채용할당제의 경우 채용시 적용비율을 놓고 공공기관마다 편차가 심했다. 적은 곳은 10%를 밑돌고, 높은 곳은 20%대를 넘어서기도 했다는 것이다. 이처럼 들쭉날쭉했던 채용비율을 적어도 30%선 정도로 확실히 기준을 세우든지 독려해 달라고 문 대통령은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지난 20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직을 과감히 포기하고 청와대 참모로 동참한 문미옥 과학기술보좌관도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과학기술보좌관직에 대해 “우리가 4차 산업혁명 또는 벤처산업 이런 것도 제대로 해내야 할 시기여서 아주 중요해졌다”고 평가했다. 이어서 “정부조직법 개편이 되면 미래창조과학부, 거기에 과학기술혁신센터, 혁신본부 그런 것을 설치해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세우려고 한다. 그래서 모신 것”이라고 문 보좌관 임명 배경을 소개했다. 동석한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은 “새 정부에서 서별관회의 그런 용어는 앞으로 없을 것”이라며 기존의 서별관회의 폐지 방침을 재확인한 뒤 경제부총리, 공정거래위원장과 수시로 만나 장소에 상관없이 논의하겠다고 다짐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