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당이 ‘정부보다 빨리 뛴다’는 각오로 국내외 네트워크형 싱크허브로 키우겠다.”
더불어민주당의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 김민석(53·사진) 원장은 지난 19일 여의도 사무실에서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북핵·미사일 해법과 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해 미국 등 공공외교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원장은 정세균 국회의장, 추미애 민주당 대표, 국민의당 정동영·천정배 의원 등과 함께 1996년 15대 국회에 입성해 재선한 뒤 하버드대 행정학석사, 칭화대 법학석사, 러트거스뉴저지주립대 로스쿨 J. D.(국제변호사)를 했다. 지난해 말 추 대표의 제1기 특보단장이 돼 대선 과정에서 더문캠 종합상황본부장으로 맹활약했다.
우선 그는 문재인 정부의 성공적 국가경영을 뒷받침하고 여소야대에서 여당의 역할 확대 차원에서 당과 연구원의 변화·혁신 플랜을 짜고 있다며 지난달 취임 일성으로 강조했던 ‘100년정당’ 청사진을 밝혔다.
집권당과 싱크탱크의 업그레이드·현대화를 누차 강조한 그는 “국내외 진보·보수를 망라한 주요 싱크탱크나 연구소 등과 정책·인적 교류를 하고 공공외교를 해야 한다”며 “무엇보다 국민의 다양한 정책 제안이 실현되도록 지원하는 체제를 갖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역대 미 국무장관·주한미대사·한미연합사령관·암참(주한미상공회의소) 회장 등의 리스트, 국내외 주요 싱크탱크와 연구소 현황을 보여주며 “우리 실정과 집권당의 생각을 제대로 알리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지난 4월 북핵·미사일 위기 국면에서 코리아패싱(강대국의 한국 건너뛰기) 현상이 나타나고 오는 29~30일(미국시간) 한미 정상회담 성공 여부에 대한 일부의 우려도 제기되는 상황에서 집권당이 공공외교를 통해 국익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일본·중국·러시아·독일·북유럽 등 주요 싱크탱크와의 한반도 정책에 관한 정보 교류와 인적 교류도 강조했다. 정치·경제 현안을 담은 주간 ‘코리아리포트’ 첫 호를 보여주며 영문판도 7월부터 내겠다고 덧붙였다. 최근 민주연구원을 암참에 가입시켰다고 소개하며 기업과 지방자치단체와의 교류 의지도 밝혔다. 빅데이터 시대 당과 연구원의 데이터베이스화에 대해서도 힘주어 말했다.
이와 함께 정치 불신을 걷어내고 정당의 실력을 키우기 위한 당원 주권 확대와 쌍방향 정책 소통을 강조했다. 그는 “김대중 대통령 때 대선 국민경선을 도입하고 이후 당원 권리 확대 등이 일관되게 이뤄졌지만 지도부·후보 선출뿐만 아니라 정책과 당헌·당규·강령까지 결정하는 단계로 가야 한다”며 “대선 때 문재인1번가, 국정기획자문위의 광화문1번가처럼 국민의 아이디어를 활발히 끌어내며 정책으로 현실화되도록 집권당이 상시 뒷받침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소셜미디어라든지 인터넷TV와 팟캐스트를 통한 쌍방향 소통 체제를 위해 전담 부서를 만들어 당 정책위에 둘 수도 있고 민주연구원이 맡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물론 청와대와 정부가 주도권을 잡고 남북관계나 재벌정책·일자리 등에 집중하지만 집권당에서 국정기획위의 최종 의견에 보완 의견을 내고 정부 정책도 검증하며 어젠다를 배분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산적한 국정과제에도 사사건건 충돌하는 정치권의 구태 개선과 개헌 방향, 내년 6·13지방선거 대책도 털어놓았다. 그는 “높은 수준의 연정이나 이합집산형 정계개편은 현실성이 떨어져 대통령이 많은 성의를 보였는데 야당은 협력한 게 하나도 없어 안타깝다. 다당제에서 합의가 가능한 정치구조를 연구하겠다”며 “내년 지방선거에서 개헌(국민투표)도 대통령이 약속하고 국회가 오랫동안 연구해 합의 폭도 제법 있으며 불가피한데 다만 이견이 큰 권력구조 등을 창조적으로 일치시켜내고 국민개헌이 되도록 내용과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대선 때처럼 민주연구원이 지방선거의 공약과 전략의 밑그림을 먼저 시작하되 지역별 맞춤형 정책 연구와 유권자 특성 조사는 연말부터 구체화하겠다고 덧붙였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