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2주전 폭염예보 정확해진다...UNIST 폭염연구센터 개소

폭염연구센터 개소식에 참가한 사람들이 현판식 직후 단체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UNIST폭염연구센터 개소식에 참가한 사람들이 현판식 직후 단체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UN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는 26일 오전 제4공학관(110동) N107호에서 ‘폭염연구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

폭염연구센터는 폭염 발생의 과학적 원리를 밝히고, 폭염 예보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설립됐다. 이 센터는 앞으로 9년간 45억 원을 지원 받으며, 폭염 예측 기술을 개발하고 예보기술 전문인력을 양성할 예정이다. 또 폭염 피해를 줄이는 정책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과학적인 자료 제공도 수행하게 된다.

폭염은 비정상적인 고온 현상으로 막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가져온다. 우리나라는 2일 이상 하루 최고 기온이 33℃ 이상으로 예상되면 ‘폭염주의보’를, 35℃ 이상으로 예측되면 ‘폭염경보’를 각각 발령하고 있다.


지난 42년(1973~2014년) 동안 우리나라의 폭염은 주로 6~8월에 집중됐다. 하지만 최근에는 5월과 9월에도 폭염이 잦아지며 인명이나 재산 피해도 늘고 있다. 2011년 9월의 늦더위는 대규모 정전 사태로 이어졌고, 2016년 5월 평균기온은 1973년 이래 최고치를 보였다.

관련기사



이명인 폭염연구센터 센터장(UNIST 도시환경공학부 교수)은 “최근 폭염은 동아시아 대륙에 걸쳐 넓고 강한 형태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나 생성과 유지, 소멸에 대한 학술적 이해는 부족한 실정”이라며 “기후변화, 대기 블로킹, 북극 해빙 등의 전지구적 요소는 물론 녹지 감소, 고층 빌딩 증가 등의 지역적 요소까지 고려해 폭염의 원인을 밝혀낼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연구센터는 수년간 기상청이 사용해온 수치 모델을 기반으로 단기예측(3일 이내)과 중기예측(3일~2주) 정확도 향상에 주력한다.

이와 동시에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예보 기법도 개발할 계획이다. 인공지능을 일기예보에 도입해 도시 규모의 폭염까지도 예측 가능하도록 하고, 고해상도 전산유체역학 모델링을 활용해 현재 수치예보 기술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것이다.

이명인 센터장은 “기후변화가 심해지면서 일상적인 날씨 예측보다 폭염과 열대야 같은 위험한 기상 상황을 정확히 예측하는 방향으로 예보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며 “인공지능 기술을 수치예보와 위성자료에 도입한 ‘융합 예보기술’을 확보하면 기상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