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이탈리아 정부, 부실은행 2곳 구제에 170억 유로 투입

베네토 지역 중소은행 구제위해

우량자산 매각 등 절차 밟을 예정

25일(현지시간) 파올로 젠틸로니(왼쪽) 이탈리아 총리와 피에르 카를로 파도안 재무장관이 부실은행 2곳에 대한 구제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로마=AP연합뉴스25일(현지시간) 파올로 젠틸로니(왼쪽) 이탈리아 총리와 피에르 카를로 파도안 재무장관이 부실은행 2곳에 대한 구제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로마=AP연합뉴스




이탈리아 정부가 도산위기에 처한 부실 은행 2곳을 구제하기 위해 최대 170억유로(약 21조5,750억원)을 투입한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25일 피에르 카를로 파도안 이탈리아 재무장관은 파산으로 몰린 베네토주 은행 ‘베네토 방카’와 ‘방카 포폴라레 디 비첸차’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이 같은 자금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유럽중앙은행(ECB)이 23일 두 은행에 대해 “반복적으로 필요자본 기준을 위반했다”면서 이탈리아 파산 관련법에 따라 청산 절차에 들어가도록 한 데 따른 조치다. 이탈리아 정부는 두 부실은행의 우량 자산은 이탈리아 제2의 은행인 ‘인테사 산파올로’에 매각하고, 불량 자산은 국가가 떠안기로 결정했다.


이탈리아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이자 경제 활동이 활발한 베네토 지역의 중소 은행인 두 곳은 부실채권(NPL)과 경쟁력 없는 사업 모델 등으로 64억 유로 규모의 유동성 부족에 처하며 청산으로 내몰렸다. 정부의 구제안은 두 은행의 자산을 성격에 따라 나눠, 우량 자산은 자산 규모 이탈리아 2위 은행인 인테사 산파올로에 1유로에 매각하고, 부실채권(NPL) 등 불량 자산은 국고로 떠안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관련기사



이탈리아 정부는 우선 인테사 산파올로에 인력과 점포 등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조조정 비용 등으로 52억 유로(약 6조6,000억원)를 지급하고, 향후 부실채권 등으로 발생할 잠재 손실에 대해서는 120억 유로(약 15조3,000억원)를 보증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파올로 젠틸로니 이탈리아 총리는 “위험에 처한 예금자들과 투자자들의 보호를 위해 이번 개입이 불가피하다”며 “베네토 지역은 이탈리아 경제에, 무엇보다 중소 기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역”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치에 따라 해당 은행 예금자나 선순위 채권자는 피해를 입지 않고, 인테사 산파올로에 편입되는 두 은행도 중단 없이 영업을 이어가게 된다. 반면, 주주나 후순위 채권 투자자는 손실을 함께 부담할 예정이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