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투자 늘린 기업, 해외소비 늘린 가계…1분기 잉여자금 줄었다

올해 1·4분기 가계와 기업이 소비와 투자를 늘리면서 쓰지 않고 쌓은 여윳돈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주식시장이 호조를 보이면서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보유한 금융부채 대비 금융자산 배율도 1년 만에 올랐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1·4분기중 자금순환(잠정)’ 자료에 따르면 올 1~3월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운용 규모는 14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9조5,000억원)에 비해 크게 줄었다. 직전 분기인 지난해 말(19조2,000억원)에 비해서도 5조원 가량 줄어든 규모다. 순자금운용액은 경제주체가 예금, 보험, 주식투자 등으로 굴린 돈(운용자금)에서 빌린 돈(조달자금)을 뺀 잉여자금을 뜻한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1·4분기에 운용한 자금은 35조원, 조달한 자금은 21조원이었다.


가계의 잉여자금 규모가 줄어든 것은 신규 주택 구입 흐름이 이어진 데 이어 올 1·4분기 해외소비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박동준 한은 자금순환팀장은 “금융기관의 집단대출 신규 취급 규모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고, 정부가 개별소비세 인하 등 소비 진작을 위한 정책을 시행한데다 가계의 해외소비지출이 늘어난 것도 가계 순자금운용 규모 축소 배경이 됐다”고 분석했다. 올해 1·4분기 한은 국민계정 통계 중 가계 최종소비지출 내역을 보면 국내 거주자가 해외에서 쓴 금액은 사상 두 번째로 많았다. 부동산경기가 활황을 이어가면서 신규 주택 구입 수요가 줄지 않고 있는 영향도 컸던 것으로 보인다.

민간기업도 설비투자를 늘리면서 잉여자금 규모를 크게 줄였다. 지난해 말 4조8,000억원이었던 민간기업의 잉여자금은 이번 1·4분기 2,000억원 수준으로 대폭 쪼그라들었다. 다만 공기업들이 부채 감축과 사업 축소에 나서면서 플러스전환에 성공한 까닭에 민간기업과 공기업을 합친 비금융법인기업 전체의 잉여자금 규모는 2조7,000억원으로 확대됐다. 공기업들은 지난해 말 순자금조달액 3조4,000억원에서 올 1·4분기 순자금운용액 2조5,000억원으로 자금 사정이 확 바뀌었다.


한편 일반정부 부문은 이번 분기 6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조5,000억원) 여윳돈이 크게 늘었다. 세수가 많이 늘어난 영향이다.

관련기사



올해 3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총금융자산은 지난해 말보다 248조7,000억원 늘어난 1경5,688조원으로 집계됐다. 경제주체별로 보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이번 분기 55조3,000억원, 일반정부는 42조8,000억원 금융자산이 늘었다. 반면 비금융법인기업의 자산은 10조7,000억원 줄었다.

금융자산 구성내역을 보면 현금 및 예금, 채권 등의 안전자산의 비중은 소폭 줄고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 비중은 늘었다(19.8%→20.2%). 올 초부터 박스권을 탈피해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국내 주가시장 오름세가 배경이다. 코스피 지수는 지난해 말 2,026에서 올 3월말 2,160으로 뛴 뒤 연이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2,500선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에 힘입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금융부채 대비 금융자산 배율은 2016년 1·4분기(2.24배) 이후 1년 만에 올라 2.17배를 기록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1·4분기 금융부채는 1,586조8,000억원이었다. 한은의 자금순환 동향에서 집계되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금융부채는 소규모 개인사업자와 비영리단체의 부채를 포함하기 때문에 가계신용(3월 말 현재 약 1,359조원)보다 많다.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