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靑 "신고리 5·6호기 완전 중단 아니다"

청와대가 신고리 5·6호기 공사 일시 중단에 대한 반발과 관련해 “완전 중단을 결정한 것은 아니다”라며 반박하고 나섰다. 단,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해 청와대가 물러서지 않을 것으로 보여 갈등이 증폭될 것으로 전망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28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고리 5·6호기 임시 중단 결정은 우리 사회의 원자력 발전에 대한 고뇌 때문”이라면서도 “중단으로 결정 난 것으로 일부 보도가 나고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자유한국당 등 보수 야권에서 전력수급 차질과 전기료 인상 등을 반대 근거로 들며 사실상 정부가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중단했다고 여론전을 펼치자 반격에 나선 것이다.


이 관계자는 신고리 5·6호기에 대한 건설 잠정 중단이 완전 중단이 아니라는 것을 전제하면서도 “중단될 경우에도 전력수급 문제와 전기료 인상 문제 역시 해결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기본적으로 현재 전력수급계획은 2015년 수립된 7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며 “앞으로 2031년까지의 8차 수급계획은 올해 말까지 확정된다. 탈원전 정책 방향이 과연 어떻게 전력수급계획에 반영되는지를 곧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 들어 노후석탄발전소를 폐기했지만 전력수급에는 전혀 차질이 없을 정도로 이미 전력수급에 대해 정부가 신경을 쓰고 있고 2023년부터 가동예정이던 신고리 5·6호기를 폐쇄하더라도 향후 부족한 전력을 대체하는 데 자신이 있다는 것이다. 또 신재생에너지로 전력을 대체할 경우 발생하는 전기료 인상분에 대해서도 “발전용 에너지에 대한 세제 문제와 연결된다”며 조세정책을 통해 인상을 억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 관계자는 원전 대체 에너지로 액화천연가스(LNG)와 신재생에너지를 강조했다. 그는 “LNG는 에너지 자원 중 가장 깨끗하다.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또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비율이 우리 국력에 비해 너무 낮다. 앞선 정부가 신재생에너지를 강조만 하고 대책을 수립하지 않았지만 지금부터라도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