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가계부채 늘수록 어깨 무거운 청년층…3년새 빚 부담 36%↑

20∼30대 LTI 136.0%→185.2% 급등

60대 이상 LTI는 250.7% 달해

/연합뉴스/연합뉴스


가계 부채가 급증하면서 향후 소비를 책임져야 할 청년층의 빚 부담도 커졌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영주 의원(더불어민주당)은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연령대별·종사상 지위별 소득 대비 가계대출비율(LTI)’ 자료를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한은의 가계대출 데이터베이스에 담긴 약 100만 명의 평균 LTI는 2014년 3월 말 166.8%에서 올해 같은 기간 205.5%로 올랐다.


30대 이하의 LTI는 136.0%에서 185.2%로, 40대는 162.7%에서 202.3%로, 50대는 179.9%에서 207.1%로, 60대 이상은 225.9%에서 250.7%로 각각 올랐다. 나이가 들수록 대출을 더 받았다. 소득만으로는 주택 구입, 자녀 교육, 사업 등 늘어나는 자금 수요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LTI 수준만 따지면 고령층이 높지만, 상승 추이는 청년층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최근 3년간 LTI 증가율이 30대 이하는 36.2%다. 소득이 제자리에 머무르는 사이 대출이 연평균 12%, 한 달에 1%꼴로 늘어난 셈이다. 40대는 24.3%, 50대는 15.1%, 60대 이상은 11.0%씩 LTI가 상승했다.


LTI의 상승은 소득 대비 대출의 규모가 늘었다는 의미다. 한은은 최근 펴낸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가계대출이 급증하면서 소득에 비해 과도하게 채무를 일으킨 차주(借主)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LTI가 500%를 넘는 차주의 비중은 2012년 말 6.6%에서 올해 3월 말 9.7%로 증가했다. 빚이 있는 사람 10명 중 1명은 5년 동안 소득을 고스란히 모아도 빚을 다 갚지 못한다는 것이다.

자영업자와 비장영업자(근로소득자)로 나누었을 때 자영업자의 LTI는 355.9%로, 비자영업자(193.7%)의 2배에 육박했다. 3년 동안 자영업자 LTI는 20.1% 올랐다. 비자영업자 LTI는 23.0% 상승했다.

연령과 종사상 지위를 따졌을 때 LTI가 가장 눈에 띄게 오른 계층은 30대 직장인, LTI 수준 자체가 가장 높은 계층은 60대 이상 자영업자로 추정된다.

김영주 의원은 “자영업자의 건전성이 매우 우려스럽고, 향후 소비를 책임져야 할 청년층의 빚 부담도 많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총량도 중요하지만, 미시적 대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