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 '주변환경 감지능력' 절반 이하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하면 주변 사물에 대한 인식률이 절반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사고 위험이 높아집니다”

울산대학교 스포츠과학부의 김기정(44·운동생리학 전공) 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 운동과학과 임종일 박사 등과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이 지각 수준 및 보행의 동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스마트폰으로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으면 보행할 경우, 시각을 통해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능력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다고 29일 밝혔다.

김 교수팀은 건강한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러닝머신의 트레드밀 위를 걸으며 스마트폰으로 문자 메시지를 보내도록 하고, 머신 앞 스크린을 통해 다양한 시각 과제를 수행하게 해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률 및 반응시간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세밀한 변화에 대한 감지가 요구될수록 반응률은 47.4%나 낮아지고 반응시간 또한 증가함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스마트폰 조작에 필요한 손가락 움직임, 스마트폰 화면의 내용을 읽고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시각 및 인지적인 주의 등이 단기기억에 부하를 일으켜 주변 환경 및 사물에 대한 인식 능력이 저하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보행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위험 요소 중의 하나인 시각 정보의 손실 정도를 수치화하고, 시각 정보의 특성에 따라 그 손실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소개했다.

연구진은 특히 노인이나 임산부는 보행의 제어 측면에서 젊은 성인보다 안전에 더욱 유의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