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조명균 "개성공단 재개, 지금은 어렵다"

■ 통일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

속전속결로 청문보고서 채택

"북핵 해결 국면으로의 전환이 먼저"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에

"盧 대통령도 저도 은폐 생각 없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29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조명균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29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29일 조명균 통일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는 여야 공방 없이 비교적 매끄럽게 진행됐다. 여야 모두 조 후보자의 도덕성에 합격점을 주면서 이날 청문회는 조 후보자의 대북관과 대북 정책, 남북 관계 주요 현안과 관련한 질의에 집중됐다.

조 후보자는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개성공단 및 금강산관광 재개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개성공단에 대해 “남북관계에서 경제협력뿐 아니라 군사적 이완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면서 “기본적으로는 재개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북핵 상황이 엄중하기 때문에 해결 국면으로의 전환이 선결과제”라는 전제조건을 달았다. 금강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재개되는 쪽으로 가야 한다고 보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어렵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대북특사 파견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다른 남북대화와 마찬가지로 특사 파견이 남북관계 복원에 필요하다면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조 후보자가 과거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으로 재판을 받았던 만큼 관련 질의도 이어졌다. 그는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께서도, 저희 스스로도 대화록을 은폐하거나 폐기하는 그런 일은 없었고 그럴 생각도 없었다”면서 의혹을 강하게 부정했다. 다만 그는 “당시도 말했지만 제가 좀 더 치밀하게 잘 처리했다면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았을 텐데 송구스럽다”면서 유감을 표했다. 앞서 조 후보자는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을 폐기한 혐의로 2013년 기소돼 관련 재판에서 1심과 2심 모두 무죄 선고를 받은 바 있다.

한편 조 후보자에 대한 청문경과보고서는 이날 별다른 이견 없이 채택됐다.

하정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