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대통령 訪美] 文 "북핵 해결 확고한 의지 있다...안심하고 韓투자 늘려달라"

■한미 비즈니스 서밋 연설

GE·JP모건·퀄컴·에어비앤비 등 美기업 대거 참석

"평화 정착 땐 北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 될것"

플랜트 등 세계시장 진출 '전략적 경제동반자' 제안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헤이애덤스호텔에서 열린 경제인과의 차담회에서 대기업 총수와 기업 최고경영자(CEO)들과 얘기를 나누고 있다. 문재인(오른쪽부터) 대통령,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헤이애덤스호텔에서 열린 경제인과의 차담회에서 대기업 총수와 기업 최고경영자(CEO)들과 얘기를 나누고 있다. 문재인(오른쪽부터) 대통령,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 기업인들과 만나 양국 기업들의 세계시장 동반진출 전략을 제안했다. 좀처럼 풀리지 않는 세계적 경기 둔화와 높아지는 무역장벽에 맞서 두 나라 기업들이 함께 세계 무대에서 투자 기회를 창출하자는 것이다.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문 대통령은 이날 현지에서 두 나라 상공회의소가 함께 주최한 ‘한미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해 한미 경제의 윈윈 카드를 꺼내 들었다.


문 대통령은 “새 정부는 견고한 한미동맹을 토대로 북핵 문제 해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여러분이 안심하고 한국에 투자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또 “한국의 많은 기업이 새로운 성장출구로 북한을 생각하고 있지만 한반도의 평화가 전제되지 않으면 안 된다”면서 “우리 정부의 구상이 실현되는 과정에서 여러분은 안심하고 한국에 투자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북한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외시장 공동진출의 주요 분야 중 하나로 플랜트가 꼽혔다. 문 대통령은 “한국의 플랜트 건설 경험과 미국의 사업개발, 엔지니어링 기술 등이 결합하면 해외 발전소 건설·운영에도 동반진출의 기회가 생길 것”이라며 “양국 기업의 글로벌 시장에 대한 전략적 동반진출은 양국 경제발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문 대통령은 전기차·스마트가전 등의 신산업 분야도 지목하며 “양국 기업의 강점을 결합해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한미 양국은 동맹을 토대로 상호 번영의 역사를 함께 써온 불가분의 경제 동반자”라며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는 최고의 동반자가 되자”고 말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양국 관계를 ‘전략적 경제 동반자’로 발전시키자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굳건한 기존의 안보동맹을 넘어 정치·경제·사회·문화 분야로 동맹관계를 포괄적으로 도약시키자는 의미다. 이 자리에는 GE와 JP모건·3M·퀄컴·에어비앤비 등 금융·제조·첨단정보산업 분야의 쟁쟁한 미국 기업 고위관계자들을 비롯해 250여명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이들에게 “종합적인 일자리 정책을 준비하고 있다”며 “재정·세제·금융·인허가 등 가용한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하고 여타 정책도 일자리 중심으로 재편할 계획”이라고 약속했다. 시장진입장벽과 가격규제 등 경쟁 제한적 요소도 개선하겠다며 투자를 요청했다.

서밋 행사에 앞서 헤이애덤스호텔에서 열린 ‘방미경제인단 차담회’도 국내 기업인들로 성황을 이뤘다. 이 자리에는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비롯해 최태현 SK 회장,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을 포함한 굴지의 대기업 오너 및 전문경영인 등 52명의 경제계 거물들이 동석했다.

문 대통령은 이들 테이블을 일일이 돌며 경영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했다. 기업인들은 문 대통령에게 경제 활성화를 위해 규제를 적극 풀어달라고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새 정부 구성 등 바쁜 일정으로 진작 만나지 못했다며 아쉬움을 표시하기도 했다. 이날 차담회에는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이 참석했다. 노사가 서로 반목할 것이 아니라 정부가 마련해준 제도적 틀과 공개 석상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만나 대화로 시각을 좁히고 절충점을 찾자는 차원이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일자리 창출을 통해 가계소득을 높이겠다며 이를 통해 우리 경제가 당면한 최고의 구조적 문제인 저성장과 저출산, 사회 양극화를 풀겠다고 말했다. /워싱턴DC=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