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노후 석탄화력 ‘셧다운’ 한달, 전력수급엔 문제 없다

지난 6월 공급예비력 1,248만k…안정적인 정상수준

내년부터 3개월간 셧다운 정례화…우려 목소리도

경남 고성군 삼천포화력발전소 1·2호기(맨 왼쪽)/연합뉴스경남 고성군 삼천포화력발전소 1·2호기(맨 왼쪽)/연합뉴스


석탄화력발전소 8기가 지난 6월 한 달간 일시 가동 중단(셧다운)됐지만, 전력수급은 원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6월 중 가장 많은 전력을 사용한 날은 지난달 30일(7,541만KW)이었다.


지난해 같은 날보다 최대 전력량은 4.3% 증가했지만, 공급예비력은 1,248만KW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공급예비력은 고장·정비 등으로 가동이 중단된 설비를 빼고 당장 전력 생산이 가능한 설비 중 최대 전력수요가 발생한 시점의 여유 발전설비용량을 뜻한다.

공급예비력이 500만KW이상이면 전력수급이 정상 수준으로 분류된다.

새 정부는 앞서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노후 석탄화력 8기를 6월 1일 오전 0시부터 한 달간 일시 셧다운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3호 업무지시에 따른 것이다.


일시 셧다운된 발전소는 보령 1·2호기, 서천 1·2호기, 삼천포 1·2호기, 영동 1·2호기다. 이들의 설비용량은 총2,845mw다.

관련기사



우리나라 전력 전체 설비용량에서 이들 발전기는 약 2.5%를 차지한다. 큰 비중이 아닌데다가 예비력도 충분한 상황이라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했다.

예비력을 최대수요전력으로 나눈 예비율은 월평균 26.2%로 지난해 6월 평균(18.9%)보다 7.3%포인트 높았다.

정부는 내년부터 3~6월 3개월간 전례적으로 노후 석탄발전소를 셧다운할 방침이다.

한편 일각에선 노후 석탄화력 셧다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곽대훈 자유한국당 의원은 셧다운 대상인 발전소를 운영하는 중부발전과 남동발전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개월간 셧다운을 정례화할 경우 남동발전은 984억원, 중부발전은 1,724억원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곽 의원은 “석탄화력 셧다운은 전기요금 인상 압력을 주고 세금으로 운영하는 발전공기업의 수익을 감소시킨다”며 “결국 국민 부담이 커질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