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7시간 늦은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문 발표…'Free' 단어 때문

"美, 'Free and Fair Trade'서 'Free' 빼달라'고 요청"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공동 언론 발표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공동 언론 발표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한미 정상회담 이후 공동성명문 발표가 7시간 지연된 이유는 막판에 성명문 단어를 수정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의 단어는 ‘free‘였다. 공동성명 문구는 합의가 끝났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free‘를 뺄 것을 지시해 백악관 참모들이 이를 논의하는 과정이 길어졌다는 것이다.

30일(현지시간) 정오를 넘겨 양국 정상이 공동 언론발표를 마친 뒤로도 공동성명은 배포되지 않았다. 7시간이 지나서야 언론은 공동성명을 받아볼 수 있었다. 공동성명은 보통 양국 당국자들이 정상회담 전에 문안에 합의하기 때문에 정상회담 직전에 언론에 미리 배포하거나 정상회담 직후 공식 발표돼 왔다.


공동성명 발표를 앞두고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허버트 맥매스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조관에게 ‘Free and Fair Trade(자유롭고 공정한 무역)’ 문구에서 ‘free’를 빼라는 요청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Free Trade(자유무역)‘이라는 단어가 공동성명에 포함되길 원치 않았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평소에도 ’자유무역 지지자는 반미주의‘라 주장하는 등 보호무역정책을 강조해왔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평화통일 환경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미국이 우리 정부의 주도권을 지지한다는 등의 내용도 사전에 조율돼 있었으나 백악관 측이 막판까지 서명하지 않은 것도 변수였다. 결국 청와대 측이 본문에서 ‘free‘를 빼기로 하는 등 상황을 수습하면서 공동성명이 발표될 수 있었다.

/조은지 인턴기자 ejee@sedaily.com

조은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