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산사태예방 ‘올인’…산악기상 관측망 210개소로 확충

산림청, 산지전용지역 등 산사태 위험지역 집중관리

김용하 산림청 차장이 ‘2017 산사태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산림청김용하 산림청 차장이 ‘2017 산사태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산림청


산림청이 장마철 진입과 태풍북상으로 대규모 산사태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산지전용지역 등 산사태 발생위험이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 예방이 적극 나선다.

김용하 산림청 차장은 3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발표한 ‘2017년 산사태방지 종합대책’을 통해 펜션 등이 들어선 산지전용지역을 비롯해 동해, 삼척 등 대형 산불 피해지와 경주 지진피해지, 하동·완주·정선 등 땅밀림 지역에 대해 마대쌓기 등 예방활동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2만,1406개 전국 산사태 취약지에 대해서는 주민 대피체계를 구축하고 산사태 예·경보를 적기에 발령해 위기 시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산림청은 또한 오는 2021년까지 산악기상 관측망 620개소를 설치한다는 계획아래 올해까지 210개로 확충해 관측치를 산사태 발생 예측에 활용하고 ‘산사태정보시스템’의 공간·강우정보, 분석모델 및 전달체계의 고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산사태 발생 예측력을 높여 나갈 방침이다.

관련기사



이와함께 생활권 주변 산사태 취약지역 인명·재산피해 예방을 위해 사방댐 설치와 계류보전 등 시설위주의 사방사업을 추진하는 동시에 올해부터 ‘산사태재난경계피난사업’도 새롭게 추진한다.

김용하 산림청 차장은 “우리나라는 험준한 산지경사와 응집력이 약한 산림토양(마사토), 여름철에 집중되는 강우형태 등으로 산사태에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며 “국민들 여러분도 산사태정보 앱(App)을 적극 활용하고 산사태 위험이나 발생시 관계기관의 대피안내를 신속히 따라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