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이주열, 또 긴축 신호 “10년간 초저금리·양적완화 기조 변할 것”

선진국 유동성 축소 때 신흥국 부작용 우려

한은도 주요국 통화정책 추이 따라 대응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서울경제DB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서울경제DB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또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을 내놨다. 이 총재는 “초저금리와 양적완화의 기조가 변하고 있다”며 한국도 글로벌 통화정책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4일 서울 태평로 한은 본관에서 경제동향 간담회를 열고 “지난주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국제결제은행(BIS) 연차총회와 포르투갈에서 개최된 ECB(유럽중앙은행) 연례포럼에 참석했다”며 “각국 중앙은행 총재들은 최근 글로벌 경기 회복세가 뚜렷해지고 있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에 이어 최근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가 양적 완화의 축소 가능성을 처음 시사한 점을 언급했다. 그는 “금융위기 이후 10년에 걸쳐 초저금리와 대규모 양적 완화로 이어진 선진국 통화정책 기조가 변화를 맞고 있다”며 “그동안 국제금융시장에 공급된 막대한 유동성이 축소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신흥국 입장에서 확실한 대비태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한은도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어진 초저금리와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하는 양적완화 기조가 변하는데 동참할 것이라는 발언도 내놨다. 지난달 이 총재가 “경기 회복세가 지속되면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며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을 한 데 이어 또 긴축 신호를 내놓은 것이다. 이 총재는 “미국 등 선진국 중앙은행이 유동성을 축소하는 과정에서 신흥국 경제에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며 “한은도 앞으로 주요국의 통화정책 추이, 글로벌 자금이동 동향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적절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 총재는 선진국의 통화정책 변화가 신흥국 금융불안으로 번질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정관 한국무역협회 부회장과 염용섭 SK경영경제연구소장, 이동근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이상호 한국건설산업연구원장, 이재흥 한국고용정보원장 등이 참석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