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유해 화학물질 든 건축용 페인트 생산 2,400t 줄어든다

페인트 생산업체 5곳, 크로뮴6가화합물 사용 않기로

발암물질 등 유해 화학물질이 함유된 건축용 페인트 생산이 연간 2,000t 넘게 줄어든다.

환경부는 발암물질인 크로뮴6가화합물이 들어가지 않은 건축용 페인트가 본격적으로 생산됨에 따라 이 물질이 함유된 기존 페인트의 올해 시판량이 전년보다 2,400t가량 줄어들 것이라고 4일 밝혔다.


이는 강남제비스코와 노루페인트, 삼화페인트공업, 조광페인트, 케이씨씨 등 페인트 제조 5개사가 지난해 초 ‘페인트 유해화학물질 사용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을 맺은 데 따른 결과다. 이들 업체는 지난해 크로뮴6가화합물이 들어간 페인트를 2,400여t 생산했으나 올해부터는 생산을 전면 중단한다. 대신 이 물질과 같은 착색 효과를 내는 유기안료를 개발해 생산·공급하고 있다. 크로뮴6가화합물은 발암 등 위해성이 있는 금속성 무기물질이다. 업계는 페인트 색깔을 장기간 선명하게 유지하기 위해 첨가해 왔다.

관련기사



환경부는 이번 조치로 국민 건강 증진과 함께 페인트 판매업자 또한 화학물질관리법 규정 이행의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유해화학물질 영업허가를 받지 않고 크로뮴6가화합물이 0.1% 이상 함유된 페인트를 판매할 경우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처벌을 받을 수 있다.

환경부는 오는 5일 서울 용산역에서 이들 페인트 제조사와 ‘페인트 업종 민관 협의체’를 열고 유해화학물질 사용 저감 추진 성과와 향후 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두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