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현대로보틱스 효과에 대구시 함박웃음

본사 이어 협력사 5개 유치

630억 들여 연내 공장 착공

산업용 로봇 클러스터 구축

새 일자리 400개 창출 기대

현대로보틱스에서 생산하는 산업용로봇. /사진제공=대구시.현대로보틱스에서 생산하는 산업용로봇. /사진제공=대구시.




대구시가 현대중공업그룹의 지주회사인 현대로보틱스 유치 효과로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국내 1위이자 세계 7위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인 현대로보틱스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지역 관련 산업을 선도해 줄 것으로 기대되는데다 협력업체도 줄줄이 대구 이전에 나서고 있어서다.

대구시는 지난해 대구 달성군 구지면 테크노폴리스에 현대로보틱스를 유치한데 이어 이 회사의 협력업체 5개사를 유치하는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대구에 둥지를 트는 협력사는 로봇 본체의 가공·조립을 주로 담당하는 동명정기·일성엠텍·세신공업·선우로보텍, 로봇 제어시스템 제작 및 애프터서비스(AS)를 담당하는 유명엔지니어링이다. 모두 현대로보틱스가 생산하는 산업용 로봇의 손발 역할을 담당하는 주요 협력사들이다.


경남·울산·경주 등에 본사를 둔 이들 협력사는 5일 대구시청에서 테크노폴리스에 본사 또는 생산공장을 건립해 입주하는 내용의 투자협약(MOU)을 체결한다. 대기업 협력사 다수가 한꺼번에 대구로 이전하는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관련기사



31


협약에 따라 이들 협력사는 앞으로 630억여원을 투자해 테크노폴리스 내 약 6만㎡ 부지에 산업용 로봇 본체 및 제어시스템 등을 생산하는 공장을 연내 착공한다. 이어 내년 상반기에 공장을 준공하고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번 투자에 따라 400여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협력사 이전으로 테크노폴리스 일원에는 연 매출 2,600억원 수준(2016년 기준)의 현대로보틱스를 중심으로 산업용 로봇 클러스터가 구축될 전망이다. 협력사들이 근거리에 위치함에 따라 물류비 절감, 공동 연구개발(R&D), 품질 관리 등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현대로보틱스는 이 같은 이점을 활용해 원가 절감에 나서는 등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 세계 톱3 진입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대구시는 이전해 오는 협력사들이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을 비롯해 지역 관련 기업과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공장 착공부터 입주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해 투자유치 모범사례로 만들 방침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이 20년 넘게 전국 최하위 수준인 대구 경제의 성적표는 대기업 부재가 가장 큰 원인”이라며 “현대로보틱스와 협력사들이 지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대구=손성락기자 ssr@sedaily.com

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