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단독] '블랙리스트와의 전쟁'… 문체부, 체육계 들춰본다

자체 진상조사위원회 구성 등

스포츠계 적폐 청산 작업 착수

"관련자는 책임지게 조치할 것"

블랙리스트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자체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리기로 하는 등 문화예술계 적폐청산에 나선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 정권에서 있었던 체육계의 적폐와 차별을 바로잡기 위한 작업에도 착수했다.

4일 서울경제신문 취재 결과 문체부는 최근 대한체육회와 피해를 본 체육회 관계자들로부터 체육계 적폐를 걷어내기 위한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문체부 고위관계자는 “스포츠계는 블랙리스트와 같은 명확한 물증이 없다”면서도 “앞으로 대한체육회와 체육계 관계자들하고 모여서 기본적으로 뭐가 잘못됐는지 살펴본 후 잘못된 제도는 개선하고 책임질 사람은 책임질 수 있도록 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체부는 의견수렴 절차를 거친 후 체육계 중심단체인 대한체육회와 함께 적폐청산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필요하다면 민간위원들로 꾸려질 블랙리스트 진상위원회와 같은 기구를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특히 문체부는 대한체육회와 협업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대한체육회의 가맹단체나 체육회 내부 규정 위반사례에 대해서는 대한체육회 내부 클린스포츠센터에서 해결하고 최근 발생한 프로야구 비리 등 프로 문제라든지 스포츠 선수의 비리와 관련된 문제는 스포츠비리센터를 활용해 스포츠 비리 척결에 나설 방침이다.

관련기사



체육계 적폐청산 작업은 도종환 문체부 장관이 취임하면서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6월 도종환 문체부 장관에게 임명장을 주면서 “체육계도 공공연한 차별이 있었다고 체육계가 느끼고 있다”며 “그런 부분도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도 장관은 취임 후 체육계에 있는 차별을 근절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보라는 지시를 실무진에게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지난 정권에서 국정농단의 핵심주역인 최순실의 딸 정유라의 대학 입학 비리, 김종 전 문체부 2차관의 박태환 선수 올림픽 포기 종용 의혹 등 공정해야 할 체육계가 권력에 의해 사사로이 좌지우지되면서 병폐가 커진 것이 사실이다.

한편 문체부는 이날 두산베어스 대표와 심판 사이에 돈이 오간 사건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야구위원회(KBO)에 관련 자료를 요청했다. 문체부는 자료 검토 후 승부조작이 의심되는 정황이 드러날 경우 수사기관에 수사를 의뢰할 계획이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