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공공기관 이달부터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라인' 민간기업까지 확대해 논란

지원서에 사진·학력 등 사라져

내달말께 '가이드북' 마련 배포

"권고성 넘어 강제성 우려" 지적

이달부터 모든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 입사지원서에 사진과 학력·출신지·가족관계 등을 기재하지 않도록 하는 ‘블라인드 채용’ 방식이 전격 도입된다. 정부는 블라인드 채용을 민간영역으로 확대하기 위해 ‘가이드북’을 마련해 오는 8월 말께 배포하기로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부의 가이드라인이 민간기업에 강제성을 부여하는 게 아니냐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5일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공공부문 블라인드 채용 추진방안’을 발표하고 “이달 중 332개의 모든 공공기관에 가이드라인을 배포한 뒤 전면 시행에 들어간다”며 “149개 지방공기업에 대해서는 인사담당자 교육을 거친 뒤 8월부터 시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고용부에 따르면 중앙부처 산하 공공기관은 올 하반기에 1만여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추진 방안에 따르면 응시자가 제출하는 입사지원서에는 학력과 출신 지역, 가족관계, 신체조건 등을 작성하는 항목이 없어진다. 사진 부착도 원칙적으로 금지된다. 다만 경비직과 연구직 등 업무를 수행하는 데 신체조건이나 학력이 반드시 필요하면 예외적으로 허용한다. 서류전형 없이 바로 필기시험을 치르는 경우에도 응시자 확인을 위해 입사지원서에 사진을 부착할 수 있도록 했다.


면접에서도 면접관이 응시자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없게 된다. 또 지역 인재 채용을 확대하기 위해 최종학교 소재지는 기재하되 학교 이름은 적을 수 없도록 했다. 정부는 공무원 경력 채용에도 이 같은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경력채용 부문별 표준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이성기 고용부 차관은 “모든 취업준비생에게 평등한 기회를 주고 선발 과정을 공정하게 하는 게 블라인드 채용의 기본 철학”이라며 “실력과 능력을 보여준다면 공공기관 채용에 크게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블라인드 채용 방식을 민간으로 확대하기 위해 8월 말까지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북’을 마련해 배포할 계획이다. 올해 인력 수요가 있는 4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입사지원서 및 면접 방식 개선을 위한 컨설팅과 교육도 제공한다. 하지만 정부의 이러한 움직임이 권고 차원을 넘어 강제성을 띠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개정안이 국회의 계류 중으로 이 경우 민간기업에서도 신체조건과 가족사항, 출신 지역, 혼인 여부 등에 관한 정보 기재가 금지된다.

고용부 관계자는 “채용 형식과 절차는 민간기업이 자발적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다만 블라인드 채용을 하지 않았을 때 생기는 문제들을 알리는 것이 가이드북의 목적”이라며 “민간기업 인사채용 담당자들과 긴밀하게 협의해 관련 내용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성기 고용노동부 차관이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공공부문 블라인드 채용 추진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앞쪽 용지는 학력과 출신지·가족관계 등의 기재란이 빠진 공공기관 입사지원서 예시안.  /세종=연합뉴스이성기 고용노동부 차관이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공공부문 블라인드 채용 추진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앞쪽 용지는 학력과 출신지·가족관계 등의 기재란이 빠진 공공기관 입사지원서 예시안. /세종=연합뉴스






이두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