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서민금융연구포럼 "최고금리 인하, 서민 자금줄 옥죌 수 있어"

새 정부가 법정 최고금리를 20%까지 인하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법정금리 인하가 오히려 영세업자 등 서민의 자금줄을 옥죌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서민금융연구포럼의 주최로 열린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한 제언: 일본의 경험으로 본 최고금리 인하의 득과 실’ 세미나에서 기조발제를 맡은 도우모토 히로시 도쿄정보대학 교수는 “최고금리를 인하한 후 3년간 경제성장률에 최소 6조엔(60조원)의 마이너스 영향을 미쳤다”며 “자영업자의 폐업을 초래하고 서민들의 불법 사금융 이용 증가와 생활 격차 확대 등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일본은 지난 2006년 12월 최고금리를 29.2%에서 15%~20%로 인하하는 내용의 대금업법을 개정하고 2010년 6월에 전면 시행한 바 있다.

히로시 교수에 따르면 일본에서 최고금리 인하 결과 서민들은 더 어려워졌다. 히로시 교수는 “영세사업자나 서민 등은 소비자금융권에서 소외되면서 대출을 거절받기 일쑤였고 이들은 결국 친족과 지인들에게 손을 벌리는 상황에 까지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참가자들 사이에서도 현 서민금융 정책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박덕배 금융의창 대표는 “국내 최고금리 수준 결정에 있어 근거가 미약하다”면서 “남아공 사례를 고려해 학계, 실무자, 사용자 등으로 구성된 최고금리협의회를 통해 최고금리에 대한 논의 및 결정에 대한 투명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조남희 금융소비자연맹 대표는 “서민금융은 접근성과 금리가 문제라는 점에서 금융사들이 대출의 일정 부분을 서민금융을 취급하게 하는 의무를 부과하면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정책으로 1금융권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게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서민금융연구포럼은 서민금융 관련 학계와 금융기관, 시민·사회단체 등 200여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비영리단체다. 금융감독원 서민금융지원국 선임국장을 역임한 조성목 씨가 회장을 맡고 있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