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바뀌는 수도권 '富村지도'

서울, 강남-서초 1위 자리 놓고 '엎치락 뒤치락'

경기, 용인, 뜨는 하남·광명·안양에 밀려 6위로

1기 신도시, 분당 선두...평촌·일산 2위 각축전 치열



수도권 부촌(富村) 지도가 바뀌고 있다. 서울은 강남구와 서초구가 서로 자리를 바꿔가며 치열한 1위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경기도에서는 15년간 3위를 지켰던 용인이 새롭게 떠오르는 하남·광명 등에 밀려 6위로 처지는 등 수도권 주택 시장의 지형이 새롭게 그려지고 있다.

5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현재(6월23일 기준) 강남구의 아파트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은 12억9,111만원으로 1위를 기록했다.


강남구는 지난 2001년부터 아파트 가격이 강세를 보이며 2011년까지 11년 연속 서울에서 가장 비싼 부촌이었다. 전통적인 부촌으로 꼽히는 압구정동, 입주 당시 최고급 아파트였던 ‘타워팰리스’가 들어선 도곡동, 강남 8학군을 상징하는 대치동, 재건축 단지가 몰려 있어 투자 1순위로 꼽히는 개포동이 강남구에 속한다.

그러다가 강남구는 새 아파트가 하나둘씩 들어선 서초구에 2012~2014년 잠시 1위 자리를 내줬다. 서초에서는 2008년 반포자이가 입주하고 이어 2009년 래미안반포퍼스티지, 2010년 반포리체, 2011년 반포힐스테이트가 입주를 마치면서 아파트 가격이 상승했다. 반면 비슷한 시기 강남의 재건축 아파트 가격은 크게 하락했다. 2010년 강남 재건축 아파트는 5.49% 하락했으며 2011년에는 8.72%, 2012년에는 11.66% 떨어지면서 3년 연속 하락했다. 이처럼 강남구와 서초구의 희비가 엇갈리면서 2012년부터 3년 연속 서초구가 1위를 차지했다.


그 이후 강남 아파트 가격은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면서 2015년 1위 자리를 탈환, 올해까지 서울 최고 부촌 자리를 수성하고 있다.

관련기사



경기도에서는 과천과 성남이 2001년부터 지금까지 부동의 1·2위를 지키고 있다. 현재 과천의 아파트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은 8억4,029만원, 성남은 5억7,130만원이다. 경기도에서 순위가 가장 크게 밀려난 곳은 용인시다. 용인은 2001년부터 경기도 부촌 3위 자리를 유지했으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하락한 아파트값 회복이 더딘 가운데 하남시·광명시 등의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면서 지난해 4위로 처졌으며 올해 들어서는 안양에도 밀려 6위로 떨어졌다.

성남 분당, 고양 일산, 부천 중동, 안양 평촌, 군포 산본 등 1기 신도시 중에서는 분당이 2001년부터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 현재 분당의 아파트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은 5억7,560만원이다.

분당에 이어 2위는 일산과 평촌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일산은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줄곧 2위 자리를 지켰으나 2011년 평촌에 밀려 3위로 내려왔다. 하지만 이듬해인 2012년 일산이 다시 2위 자리를 되찾았으며 2013년부터는 다시 평촌이 2위를 기록하고 있다. 현재 평촌의 아파트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은 3억9,399만원이며 일산은 3억8,433만원 수준이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