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한미 6자수석 만남 성립되나…내주 싱가포르 회동할 듯

동북아시아협력대화(NEACD)에 한미수석 대표 참석할 듯

북한 미사일 도발 논의 가능

한미일 북핵 6자회담 대표.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오른쪽), 조셉 윤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왼쪽),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연합뉴스한미일 북핵 6자회담 대표.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오른쪽), 조셉 윤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왼쪽),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연합뉴스


오는 11∼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연례 외교·안보 포럼인 동북아시아협력대화(NEACD)에서 한미 북핵 6자회담 당국자 간 회동이 이뤄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6일 “우리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홍균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NEACD에 참석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미국 측 수석대표인 조셉 윤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가 참석할 예정인 만큼 김 본부장의 참석 가능성도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어제 김 본부장과 윤 특별대표 간 전화 통화에서도 가능하면 싱가포르에서 만나자는 취지의 대화를 나눈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국무부는 5일(현지시간) 윤 특별대표가 11∼18일 싱가포르·미얀마를 방문한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윤 특별대표는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비공식 컨퍼런스인 NEACD에 참석한다. 미국 당국자는 지난 수년간 정기적으로 이 회의에 참석해왔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이 NEACD에 참석하면 한미 수석대표가 회동해 북핵 대응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지난 4일 북한의 ‘화성-14형’ 탄도미사일 발사 도발에 대한 대응 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일본 측 수석대표인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도 참석할 경우 한미일 수석대표 간 회동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미일 수석대표가 정식 회동할 경우 지난 4월 25일 도쿄에서 한 회담 이후 70여 일 만이다. 김 본부장은 지난 4일과 5일에는 각각 가나스기 국장 및 윤 특별대표와 통화해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 방안을 협의한 바 있다.

NEACD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산하의 ‘국제 분쟁 및 협력연구소(IGCC)’가 북한을 포함한 6자회담 당사국의 외교 관료와 민간 학자들을 초청해 동북아 지역 안보 문제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반관반민(1.5트랙)의 연례 외교·안보 포럼이다.

올해 북한 측 포럼 참석은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6월 베이징에서 열린 NEACD에는 최선희 당시 북한 외무성 북아메리카국 부국장(현 국장)이 참석했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