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 "한반도 두번 전쟁 안돼...결국 대화와 평화를 통해 해결해야"

"지금 北 대화 모멘텀 만들기 어려운 상황...군사충돌 이어질까 걱정"

문재인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 대통령궁에서 독일 프랑크 발터 슈타인마이어 대통령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 대통령궁에서 독일 프랑크 발터 슈타인마이어 대통령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대북문제의 최종적 해법은 대화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독일 베를린 대통령궁에서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도발 수위를 높이는 북한에 대해 “한반도에서 두 번 다시 전쟁은 안 된다. 국제적으로 강한 제재와 압박을 높이는 것은 당연하지만 결국 대화와 평화를 통해 해결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G20 국제회의 참석 등을 위해 독일로 출국하기 전 한미연합 탄도미사일 발사 훈련을 지시했다. 그에 앞서 북한이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미사일 발사로 긴장 수위를 높인 데 따른 조처였다. 이처럼 북한의 도발을 둘러싸고 압박과 제재를 강화하는 것과는 별개로 궁극적 해법은 대화라는 것을 다시금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지금은 북한과의 대화 모멘텀을 만들기 어려운 상황이고, 북한이 핵과 미사일 도발을 계속해 이렇게 긴장감이 높아지다 보면 군사적 충돌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그러면서도 “북핵이 있는 한 한반도 평화는 없고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은 함께 가야 한다”며 “북한이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지 말 것을 경고하고 협상 테이블에 나오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대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그는 이어 “한반도는 독일보다 분단 기간이 길고 독일은 주변 국가가 통일에 대해 우호적이었지만 한반도는 주변 국가의 도움을 받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독일이 분단을 극복했고 이란과 미국을 중재해 이란 핵 문제를 해결한 경험이 있는 독일의 도움을 청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에 슈타인마이어 대통령은 “수년간 이란 핵 협상을 하면서 느낀 것은 대화와 협상이 없다면 군사적 리스크는 훨씬 높아진다는 점”이라며 “이번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통해 한국·미국·중국·러시아·유럽이 북한에 대해서 만큼은 한목소리로 일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상언 인턴기자 sangun.youn@sedaily.com

윤상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