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G20 정상회의] 해·공군도 실사격 훈련...軍, 연이틀 무력시위

6일 동해상에서 실시된 해공군 합동 전투탄 실사격훈련에서 3,200톤급 구축함인 양만춘함이 표적을 향해 하푼 대함유도탄을 발사하고 있다.    /사진제공=해군6일 동해상에서 실시된 해공군 합동 전투탄 실사격훈련에서 3,200톤급 구축함인 양만춘함이 표적을 향해 하푼 대함유도탄을 발사하고 있다. /사진제공=해군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이후 우리 군의 실제 사격훈련이 이틀 연속 이어졌다.


해군은 6일 “동해 중부 해상에서 적의 해상도발에 대비해 공군과 합동으로 실사격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해군의 이번 훈련은 북한 핵심시설에 대한 정밀타격능력을 점검하기 위한 것으로 5일 현무-2A 미사일과 주한미군의 애이태킴스(ATACMS) 미사일 발사에 이어 두 번째다.

해군 1함대 사령부가 주관하는 이번 훈련에는 해군의 3,200톤급 구축함 양만춘함을 비롯한 함정 15척, P-3 해상초계기, 링스 해상작전헬기, 공군의 FA-50, F-4E, KF-16 등 전투기가 투입됐다.


훈련은 대남 무력도발에 나선 가상의 적 수상함을 우리 군의 함정과 항공기로 격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양만춘함은 적 수상함으로 설정된 해상 표적을 향해 대함유도탄 ‘하푼’을 발사했다. 2,500톤급 호위함 충북함과 400톤급 유도탄고속함 임병래함은 각각 국산 대함유도탄 ‘해성-Ⅰ’을 쐈다.

관련기사



공군 전투기들은 20여㎞ 떨어진 곳에서 적외선영상(IR) 유도 방식으로 이동 중인 함정이나 기갑 표적을 공격하는 매버릭 미사일을 발사했다.

이번 훈련은 북한이 지난 4일 ICBM급 화성-14형 미사일 발사를 감행한 데 대한 우리 군의 군사적 대응 조치로 국회 국방위원회에도 보고됐다.

해공군 합동 실사격훈련을 지휘한 권정섭 제1해상전투단장(해군 준장)은 “우리 군은 당장 오늘 전투가 벌어지더라도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최고도의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며 “언제 어떤 상황에서도 적이 해상으로 도발하면 막강한 합동전력으로 즉각 격침해 우리 영해를 반드시 사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