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국 자동차 경쟁력 잃었나…세계 3대시장 점유율 4년째 하락

美·中서 부진, 유럽선 정체…성장세인 일본과 대조

"선진국 시장 입지 넓혀야…정부 정책지원 등 필요"

경쟁력 잃은 한국 자동차…세계 3대 시장서 4년째 점유율 하락경쟁력 잃은 한국 자동차…세계 3대 시장서 4년째 점유율 하락


한국 자동차가 전 세계 3대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이 4년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사이 일본 차는 최근 5년간 꾸준히 성장해 올해 처음으로 유럽 시장에서 미국을 제쳤다.

6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5월까지 미국·중국·서유럽 등 3대 자동차 시장의 한국차 점유율은 5.8%를 기록했다. 이들 시장에서 한국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6.3%, 2010년 6.3%, 2011년 7.0%, 2012년 7.7%까지 늘었다가 2013년 7.5%를 기록하면서 하향국면에 접어들었다. 이후 2014년 7.5%, 2015년 7.2%, 2016년 7.1%에 이어 올해 5.8%로까지 추락했다.

시장별로는 현지 완성차업체들의 공세가 뚜렷한 중국 시장 부진이 가장 두드러졌다. 한국차의 중국 점유율은 2007년 7.9%에서 2014년 9.0%까지 상승했다가 이듬해 7.9%로 떨어졌다. 이어 지난해 7.4%로 하락하더니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보복’ 여파로 올해 1~5월 4.0%까지 하락했다. 같은 시기 상하이(上海), 둥펑(東風), 이치(一汽), 창안(長安) 등 현지 브랜드 점유율은 2014년 38.4%에서 2015년 41.3%, 2016년 43.2%로 늘었다.


미국에서도 한국차는 성장 동력을 상실한 모습이다. 미국 시장 내 한국차 점유율은 2011년 8.9%를 기록했다가 2014년 7.9%로 하락했다. 2016년 8.1%까지 올랐다가 올해 7.6%로 떨어져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 2위인 일본 차(38.7%)와는 30%포인트 이상 격차가 벌어진 상태다. 이밖에 서유럽에서는 최근 6년간 5.7~5.9% 점유율을 간신히 유지하며 정체기를 맞고 있다.

관련기사



한편, 3대 자동차 시장에서 일본 차의 성장이 가장 돋보인다. 일본 차는 올해 서유럽에서 지난해 대비 2.3%포인트 늘어난 14.8%의 점유율을 기록해 미국차(14.0%)를 처음으로 앞질렀다. 중국에서는 2015년 15.5%, 2016년 15.6%, 2017년 17.4%로 증가해 현지 업체들의 공세에도 성장세를 보였다. 미국 내 올해 점유율은 38.7%로 집계됐다. 일본 차 업계는 올해 점유율이 역대 최고 수준인 40%대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선진시장에 대한 한국차 수출 부진은 금융위기 이후 연구개발(R&D) 투자, 생산 효율성 제고 등의 과제를 소홀히 해 경쟁력이 저하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경쟁력을 회복하기까지 수년이 소요되는 데다 최근 경쟁 심화로 수익성 하락, 통상압력 강화 등 여건이 좋지 않아 수출부진이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관측된다. 올 하반기 역시 금리 인상에 따른 미국 승용차 수요 둔화, 신흥국의 더딘 수요 회복세 등의 영향으로 수출 전망이 어둡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내부가 그나마 유지되고 있어 위기감이 덜할 수 있으나, 현재 국내 자동차 산업은 성장 동력을 잃고 위기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며 “신흥국으로만 눈을 돌릴 것이 아니라 첨단기술의 각축장인 선진국에서도 확고한 자리를 지키도록 힘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를 위해서는 완성차업체뿐 아니라 노조, 협력업체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정부가 세밀한 자동차 정책을 마련하는 등 이해관계자들의 노력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