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수산물 수출액 역대 2위 실적, 상반기 수출 실적 5년 가운데 '최고치'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액이 11억2000만 달러(약 1조2930억원)를 보였다. 이는 지난 2012년(11억7000만 달러)에 이어 역대 2번째로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해양수산부는 올 상반기 국내 수산물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약 12.1% 증가한 11억2000만 달러로 잠정 집계됐다고 6일 발표했다. 상반기 수출 실적 기준으로 최근 5년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해수부 관계자는 “수산물 수출액이 증가한 것은 김을 중심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수산가공품 수출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수출단가가 높은 수산가공품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5.7%(4억5000만 달러) 증가하며 수산물 수출 증가세를 주도하고 나섰다. 수산가공품 수출 비중은 전체의 40.7%를 기록해 처음으로 40%를 넘었다.

국가별로는 홍콩(8.1% 감소)을 제외하고 10대 수출국에 대한 수출실적이 모두 증가한 것. 10대 수출국은 일본, 중국, 미국, 태국, 베트남, 홍콩, 프랑스, 대만, 이탈리아, 스페인으로 확인됐다.

수출 1위 국가인 일본은 엔화가 강세를 보이고 수산물 소비가 회복되면서 3억7000만 달러(10.2% 증가)의 수출액을 보였다.

김 수출이 46.0% 증가(6000만 달러)했고, 전복은 14.7%(2000만 달러), 굴은 28.6%((2000만 달러) 각각 올랐다.


중국도 김과 대구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1억9000만 달러(12.4% 증가)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특히 중국의 김 작황 부진으로 인해 우리나라 김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며 대(對)중국 김 수출이 역대 최고 실적(5000만 달러, 62.0% 증가)을 보였다.

관련기사



또 미국은 김이 18.4%(4000만 달러), 이빨고기 72.0%가 각각 증가(4000만 달러)하면서 수출액 1억5000만 달러(19.2% 증가)를 보였다.

이어 태국은 가공용 참치가 35.9%(5000만 달러), 김 60.3%(5000만 달러) 각각 증가해 1억2000만 달러(53.7% 증가)의 실적을 기록했다.

10대 수출 품목 중 오징어, 굴, 삼치를 제외하고 대부분 품목의 수출액이 증가했으며 특히 김 수출 증가세가 돋보였다. 김·참치·오징어·이빨고기·굴·게살·넙치·삼치·게·붕장어가 10대 품목에 해당한다.

김은 중국과 일본의 작황 부진으로 우리나라 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2억7000만 달러(49.4% 증가)를 기록, 수출 1위 품목이 됐다. 러시아 269.4% 증가(8000만 달러), 베트남 58.3% 증가(300만 달러) 등 신흥국 시장에서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참치는 수출 가격이 상승하면서 3.9% 증가해 수출액이 2억7000만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징어는 어획량 감소로 수출 물량이 54.3% 가량 크게 감소함에 따라 4000만 달러(24.5%)로 떨어졌다.

한편 최완현 해수부 수산정책관은 “올 상반기 수산물 수출 실적이 역대 2위를 달성하고, 수산가공품 수출 비중이 처음으로 40%를 넘어서는 등 수산물 수출지원사업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며 “하반기에는 일본·미국·대만·베트남에 수출지원센터를 추가 개소해 우리 수출업체의 애로사항을 해소하는 등 수산물 수출 상승세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