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일자리 감소 부메랑된 정부의 카드수수료 인하 압박

한 대형 카드사가 오는 9월까지 현재 25개인 지역 영업소를 15개로 줄일 모양이다. 카드 수수료 인하 등으로 인한 실적 악화 우려 때문이다. 다른 카드사들도 카드 모집인 조직을 축소하고 모집인 채널을 통한 카드 유치 목표치를 크게 줄이고 있다는 소식이다. 조만간 신규채용 감소나 희망 퇴직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카드사 직원 상당수가 일자리를 잃을지도 모른다는 얘기다. 이런 상황은 정부가 카드 수수료 인하를 밀어붙일 때부터 예견됐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출범하자마자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소상공인의 인건비 부담을 덜어준다며 카드 수수료율을 내리라고 카드 업계를 다그쳤다. 하지만 ‘3년 주기 재산정 원칙’에 막히자 영세·중소 가맹점 기준을 낮추는 방식의 우회로를 선택했다. 이 방안이 본격 시행되면 카드 업계가 받을 타격은 최대 8,000억원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카드사 경영에 큰 충격을 주는 결정을 내리면서도 정부는 업계의 의견은 아예 듣지도 않았다. 만난 적도 없다고 한다. 소상공인의 요구만 충실히 반영했을 뿐이다.

관련기사



이 같은 정부의 일방통행에 카드사가 할 수 있는 일은 뻔하다. 당장 수천억원의 수익이 줄어드는 판에 넋 놓고 있을 기업이 있겠는가. 고객 혜택 축소, 영업점 줄이기, 인력 감축은 정해진 수순이다. 2007년부터 정부 압박으로 단행된 아홉 차례에 걸친 카드 수수료 인하 때마다 그랬다. 이번에도 카드사들은 몇 개 남지 않은 할인 혜택마저 없애기로 했다. 대형 카드사의 영업소 축소는 시작에 불과할지 모른다.

정부는 생색만 내고 결국 부담은 소비자와 기업이 지는 셈이다. 이동통신비 인하도 마찬가지다. 기업 팔을 비튼 가격 인하 효과는 오래가지 못한다. ‘수익 악화→투자 위축→일자리 감소’의 악순환이 반복될 공산이 크다. 시장 개입과 가격 통제는 새 정부가 그토록 바라는 일자리 창출은커녕 되레 일자리를 사라지게 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