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인공지능 플랫폼 주도 나선 KT

개발 허브 'AI 테크센터' 문 열어

72만개 GPU로 딥러닝 연구 지원

“자율車시대 맞춰 오차 10㎝로”…고정밀지도로 내비 활로 찾는다

황창규 KT 회장이 6일 우면동 KT 융합기술원에서 열린 ‘AI 테크센터’ 개소식에서 기념 서명을 하고 있다./사진제공=KT황창규 KT 회장이 6일 우면동 KT 융합기술원에서 열린 ‘AI 테크센터’ 개소식에서 기념 서명을 하고 있다./사진제공=KT





최근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앞다퉈 인공지능(AI) 기술전에 뛰어 드는 가운데 KT가 AI 허브 역할을 담당할 기술센터를 열었다. 이 곳은 KT뿐만 아니라 제휴업체들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AI 기술 발전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될 지 기대를 모은다.

KT는 서울 서초구 우면동 KT 융합기술원에 ‘AI 테크센터(AI Tech Center)’를 열었다고 6일 밝혔다. AI 테크센터는 KT와 제휴사들의 미디어, 네트워크 및 플랫폼의 지능화를 주도할 AI 기술 발전의 허브 역할을 맡게 된다.


AI 테크센터의 연구공간은 △KT의 AI 인프라를 사용한 기술 연구와 협력을 위한 ‘AI 크래프트샵(AI Craft Shop)’ △국내외 단말과 서비스를 벤치마킹할 수 있는 ‘체험 스페이스(Experience Space)’ △AI 교육을 위한 ‘아카데미 라운지(Academy Lounge)’ △음성 녹음 및 테스트를 할 수 있는 ‘음성 성능평가실’로 구성됐다.

관련기사



이 중 AI 크래프트샵은 크게 ‘에코 크래프트샵(Eco Craft Shop)’과 ‘딥러닝 크래프트샵(Deep Learning Craft Shop)’으로 구성됐다. 에코 크래프트샵은 제휴 사업자들이 기가지니 서비스 SDK, 음성·대화·영상 SDK 등을 활용해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공간이며, 딥러닝 크래프트샵은 AI 인프라 기반으로 엔진의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성능을 높여 제휴사와 상생을 이끌어가는 공간이다.

KT는 딥러닝 인프라를 갖추기 위해 테크센터에 GPU(그래픽처리장치) 72만 개로 이뤄진 ‘GPU 컴퓨팅 클러스터’도 구축했다. 인공지능 및 딥러닝 연구를 위해서는 막대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연산 능력이 필수인데, ‘GPU 컴퓨팅 클러스터’는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용 연산 능력을 자랑한다.

김진한 AI 테크센터장은 “AI 테크센터가 신규 AI 서비스 및 연구의 전진 기지로 자리 잡아 국내외 AI 기술을 선도하길 바란다”며 “AI 테크센터를 통해 기가지니의 지능화 속도를 높이고, KT 플랫폼 사업의 발전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