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겨울보다 습한 여름철에 감전사고 2배↑

안전처 “안정장비 착용·젖은 상태로 전기제품 접촉 안 돼”

장마철 전기안전요령/출처=한국전기한전공사장마철 전기안전요령/출처=한국전기한전공사


장마와 고온다습한 날씨가 이어지는 여름철에 감전사고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6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2011~2015년 발생한 감전사고는 2,870건으로, 사망자 수는 187명으로 집계됐다. 연평균 37.4명이 감전사고로 목숨을 잃는 셈이다. 월별로는 7월 380건, 8월 365건으로 여름철이 겨울철(1월 171건, 2월 144건)보다 2배가량 많았다. 원인별로 살펴보면 콘센트 등 전원이 연결되는 충전부에 직접 접촉해 발생한 사고가 57%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합선 등으로 화재나 화상 피해를 본 경우가 25%, 누전 11% 등으로 집계됐다.


충전부 접촉사고의 경우 날씨가 덥다는 이유로 안전장비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거나 습한 탓에 젖은 장갑·의류를 착용한 채로 작업하다 사고가 나는 경우가 많다고 안전처는 설명했다. 지난달 경기 군포시 주택개발현장에서 한 인부가 안전 장구를 착용하지 않고 작업하다 감전사했다. 작년 7월에는 서울 관악구 소재 주택에서 습한 날씨에 노후 전선 교체 작업을 하다 감전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관련기사



안전처는 여름 장마철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무엇보다 젖은 손으로 전기제품을 만지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기 설비를 살피기 전에 분전함 차단기를 먼저 내리고 작업해야 하며, 전기 기구를 수리할 때에도 반드시 전원을 끄고 고무장갑이나 절연 장갑을 낀 채 작업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폭우로 가옥 일부가 침수된 경우 즉시 분전함 차단기를 내려 전원을 차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