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금보성, 한글회화의 거장을 만나다.



금보성 작가는 예술 영역뿐 아니라 사회 모든 분야의 산업과 상업이 예술과 더불어 접목되어 성장하는 흐름을 ‘21세기 퓨전주의’ 라고 한다.

고유의 영역을 해제하고 서로를 인정하고 내적으로 반목하는 상생하는 사회구조, 즉 보수나 진보가 아닌 퓨전주의 중심에 소통과 나눔이 절실한 시대라고 강조한다.


금보성 작가의 작품 활동에 있어서 상생으로 표현하는 철학은 퓨전주의다.

한글을 미술사에 진입하기 위해 퓨전주의를 접목하여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였다고 볼 수 있다. 21세기에 일어나는 일들에 있어 우연은 없다. 이러한 일을 퓨전현상이며, 퓨전이란 라틴어로 ‘FUSE’ 즉 ’섞다’라는 뜻이다.

작가에게 있어 작업하는 시간이나 과정도 중요하지만 흔들리지 않고 작업에 몰두할 수 있는 에너지가 작업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고 본다.

금보성 작가는 모국어인 한글 문자와 얼굴 이미지를 해체하지 않고 본질을 유지한 채 퓨전주의 작품인 ‘자화상’ 을 만들었다. 기존 미술사와 기법과 철학적 이론에 벗어나서 자신만의 철학과 기법으로 개척해 가는 것이 현대에 이르러 주목을 받고 있다.

“예술에 있어 한글은 큰 정신이다”


금보성 작가는 한글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인 ‘문화 DNA’ 를 깨우고자 한다. 예술에 있어 한국적인 것이란 풍경이 아닌 정신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한글은 누구나 작품의 소재로 차용할 수 있지만 금 작가만큼 다양한 작업과 작품을 만들어내지 못했다. 그의 작품은 독창적이고 자극적이다. 무질서 한듯하지만 그 속에는 자로 잰 듯 한 규칙과 질서가 숨어있다.

최근 작업 중에는 풍선으로 만든 설치 작품 방파제가 있다. 바닷가 여수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기에 크고 작은 태풍의 피해가 많아 생명과 재산을 지켜 주는 방파제를 보고서 한글(ㅅ) 작품을 제작하였다고 한다.

마을을 지키는 장승이나 국가의 기운을 지키는 해태처럼 육중하고 무거운 화강암과 시멘트의 덩어리의 방파제를 가볍고 친근하고 생동감 있는 컬러로 표현했다. 현대작품으로 재해석한 방파제는 개인의 건강과 안부를 묻는 행복 아이콘으로 태어났다.

요즘 미술계에 수십억 하는 작품들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데 최근 몇 년 전까지도 비싸지 않은 작품들이었다. 아트센터를 운영하면서 작가 작품을 많이 소장하여 경제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었는가에 대해 금보성 작가는 아트센터 운영비로 많은 작품을 구입하여 이윤을 남길 수 있지만, 작가로서 이윤을 남기는 것보다 한 사람 한사람 초대하여 전시를 진행하게 하는 것이 더 가치 있는 일이라고 한다.

금보성 작가는 아트센터 가치기준을 이윤이 아닌 소통과 나눔에 두었기에 감사하고 떳떳하다고 한다. 지금은 남북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언젠가 한글 작품을 북한에서 전시하고 싶은 마음 이루어지길 기도한다고 한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