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러 반대에...안보리 대북 규탄 성명 채택 무산

美 '러 수정 요구' 수용 안하고

새 제재 결의안 마련 착수할 듯

한국·미국·일본의 요청으로 지난 5일(현지시간) 긴급소집됐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서 러시아의 반대로 ‘대북(對北) 규탄성명’ 채택이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7일 외신과 중국 매체 등에 따르면 주유엔 미국대표부는 5일(현지시간) 안보리 회의에서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강력히 규탄하고 중대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내용이 담긴 언론성명 초안을 제안했지만 러시아가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ICBM이 아닌 중거리탄도미사일”이라고 주장하며 수정을 요구해 성명서 채택이 이뤄지지 못했다.


앞서 러시아 국방부는 북한이 4일 발사한 탄도미사일에 대해 “중거리탄도미사일의 전술기술 특성에 부합한다”는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 외신들은 미국이 러시아의 수정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고 곧바로 새로운 제재 결의안 마련에 착수할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북핵 제재의 핵심 열쇠를 쥐고 있는 중국은 이번 성명 초안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미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인력 수출 금지 등 초강경 대북 제재를 주장하고 있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대화를 통한 북핵 해결에 더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실제로 4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러시아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담을 한 후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우려를 표명하면서도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 중단과 대규모 한미 군사훈련을 동시 중단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미 국무부는 6일 “북한의 핵 활동과 한미 군사훈련은 같은 위치에서 볼 수 없다”며 중국과 러시아의 제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7일 중국 환구시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트위터를 통해 올해 1·4분기 북중 무역이 40%나 증가했다며 중국을 압박한 데 대해 “1·4분기 무역 증가분의 대부분은 인도주의적 성격이었다”며 “중국은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를 위반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aily.com 뉴욕=손철 특파원 runiron@sedaily.com

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