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신선농산물 수출 실적은 10억8,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7.5% 상승했다. 2년 연속 수출이 감소하는 어려운 상황에도 그동안 국제경쟁력이 약한 것으로 알려진 신선농산물의 수출이 증가한 점은 반가운 일이다.
사과와 배·토마토 등 신선농산물의 수출이 활발해져 해외에서도 우리 과일·채소를 쉽게 만날 수 있다. 특히 딸기는 수송 전처리 기술 개발로 신선도 유지기간을 늘려 지난해에만 홍콩과 싱가포르·말레이시아 등에 3,400만여달러 규모로 수출했다. 전년에 비해 수출량이 24.5% 증가했다. 딸기에 개발된 기술을 적용해 부패를 늦추고 덜 물러지게 해 수확 후 15일 이상 신선도를 연장한 덕분이다.
과일류의 선전에 비해 우리나라의 대표적 쌈 채소인 상추·깻잎 같은 엽채류(잎을 주로 먹는 채소)는 상대적으로 수출이 부진하다. 엽채류의 특성상 쉽게 시들거나 부패하기 때문에 항공편을 이용해 소량을 수출하는 정도다. 항공 수송은 운송시간이 짧다는 장점에 비해 비용 부담이 커 가격경쟁력이 크게 떨어진다. 따라서 장거리 이동시에도 운송단가가 낮고 많은 양을 한 번에 실을 수 있는 선박 수출을 늘리는 것이 경제적이다.
엽채류의 안정적인 수출 길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지까지 신선함을 유지하는 선도 유지 저장유통 기술이 중요하다. 선박으로 수출할 경우 엽채류는 온도와 습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품목마다 수송 환경에 맞게 수확 후 관리를 해줘야 한다. 지난 3월 상추와 시금치·깻잎 466㎏이 처음으로 배에 실려 싱가포르에 수출됐다. 당시 상추는 예비냉장을 한 다음 초미세 천공 필름으로 소단위 포장하고 시금치는 뿌리 부분을 세척한 후 수분 손실을 막기 위해 파라핀코팅 신선지를 덮고 상자로 포장했다. 저온에 취약한 깻잎은 상자 위에 알루미늄필름을 덮어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했다.
이런 노력 덕분에 수확한 지 13일이나 지나 싱가포르에 도착해도 신선한 품질을 유지해 현지 교민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경제국경이 사라진 지 오래다. 우리 농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해외 시장 진출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동남아 시장 진출로 물꼬를 튼 우리 신선농산물의 수출이 바닷길로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