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IoT로 지하 모니터링…싱크홀 막는다

UGS융합연구단 실시간 예측사업

10월부터 왕십리역에 시범 적용

김재환(왼쪽) UGS융합연구단 선임연구원과 서영호 선임연구원이 무선통신을 이용해 지하의 싱크홀을 보며 기술을 적용해 보고 있다. /사진제공=UGS융합연구단김재환(왼쪽) UGS융합연구단 선임연구원과 서영호 선임연구원이 무선통신을 이용해 지하의 싱크홀을 보며 기술을 적용해 보고 있다. /사진제공=UGS융합연구단




본격적인 장마철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 붕괴와 낙석 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 등 대도시 지역은 지반이 내려앉아 구멍이 뚫리는 싱크홀이 자주 발생하면서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는 추세다. 이런 가운데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이 싱크홀 문제 해결에 팔을 걷어붙였다.


UGS융합연구단은 싱크홀 위험을 실시간 예측해주는 시범 사업을 오는 10월 왕십리역에 시범 적용한다고 10일 밝혔다.

UGS(지하안전) 융합연구단은 지난 2014년 말 미래창조과학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추진하는 융합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출범했으며 ‘사물인터넷(IoT) 기반 지하 매설물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기술 개발’을 연구하고 있다.


주관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을 비롯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이 참여해 지난 3년간 총 315억 원의 예산을 받아 IoT로 지하 공간의 이상 징후를 감지해 싱크홀이나 지하 시설물 붕괴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왔다.

관련기사



ETRI는 IoT 기반 기술과 지하공간 3차원 가시화 기술, 무선통신 칩 기술 개발에 주력했고,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상·하수관로 모니터링 및 탐사기술,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도시철도 시설물 모니터링기술, 한국지질자원 연구원은 지하수 및 지반환경 분석기술 개발 등 각각의 분야에 특화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에 왕십리역에 적용되는 사업에서는 역사 인근 상·하수관로 등 눈으로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지하에 센서가 설치된다. 맨홀 뚜껑에는 센서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이는 안테나가 세워진다. 왕십리역 주변의 지하 공간을 3차원 입체 영상으로 보여주고, 지반 함몰 위험 상태도 알려주는 ‘UGS 서비스 플랫폼’도 운영된다.

연구진은 이번 기술을 본격적으로 사업화하기 위해 ㈜유지에스를 설립하고 11일 서초구 양재동 엘타워에서 출범식을 개최한다. 한전산업개발을 포함한 7개의 관련 기업들이 출자한 유지에스는 향후 기술 출자를 통해 연구소 기업으로 등록한 뒤 전국 단위의 사업체로 성장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내년 1월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면 지하시설을 관리하는 지자체나 기관별로 안전점검을 책임져야 하는 만큼 안전관리시스템 시장이 본격적으로 꽃을 피울 전망이다.

이인환 UGS융합연구단장은 “정부출연연구원의 우수 연구원들이 한 공간에 모인 융합연구로 이번 성과가 가능했으며, 빠른 상용화를 위해 서울 성동구를 시작으로 전국 지자체에 연구성과물을 확산해 국민 안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loT 기반 지하공간 그리드 시스템 개념도loT 기반 지하공간 그리드 시스템 개념도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