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신장암 표적항암제 개발…제약사들 러브콜

김수열·송민수 박사팀

동물실험서 완치 효과

송민수(왼쪽)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박사와 김수열 국립암센터 박사송민수(왼쪽)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박사와 김수열 국립암센터 박사




국내 연구진이 신장암 표적항암제 예비후보물질을 개발, 국내외 제약회사들로부터 러브콜을 받고 있다.


11일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에 따르면 연구진은 지난주 제주도에서 열린 ‘인터비즈 바이오 파트너링 & 투자포럼’에서 신장암 표적항암제 예비후보물질 개발 사실을 공개했으며 한국MSD·사노피아벤티스와 CJ헬스케어·유한양행·한미약품 등 국내외 18개 제약회사들이 기술협의를 신청할 정도로 큰 관심을 끌었다.

이 화합물은 송민수 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박사와 국립암센터 김수열 박사팀이 미래창조과학부의 연구개발(R&D) 지원사업을 통해 개발했다. 신장암 쥐 실험을 통해 완치 효과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앞서 신장암이 생기면 정상적인 신장에선 없던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2(TG2) 효소가 과도하게 만들어져 p53이라는 암 억제 유전자가 기능을 잃어 암세포의 증식이 이뤄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래서 TG2 억제제를 합성, 신장암 쥐에 투여하자 p53 유전자가 본래의 기능을 수행해 신장암 세포가 소멸됐다.


연구팀은 우선 이 물질에 대한 국내특허를 출원했으며 국제특허도 출원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신장암에 쓰는 기존 항암제들은 다른 암 치료를 위해 개발됐다. 대부분 인산화 효소(kinase) 저해제로 암세포 증식에 필수적인 혈관생성을 억제하지만 이 과정에서 내성이 생겨 생존율 향상에 한계가 있다. 구토·탈모·설사 등의 부작용도 문제다.

김 박사는 “개발과정이 순조로울 경우 세계 첫 신장암 표적항암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 박사는 “ 올 연말까지 최적화 작업을 거쳐 후보물질을 확정하고 기술을 이전받는 제약회사와 협력해 전임상시험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4년 21만7,057명의 암 환자가 발생했다. 이 중 신장암은 4,471명(남자 3,108명, 여자 1,363명)으로 전체 암 발생의 2.1%를 차지했다. 신장암은 주로 50대 이상 연령층에서 생긴다. 전 세계적으로 연간 27만명이 신장암으로 진단되고 그중 11만명이 사망한다. 세계 신장암 치료제 시장은 2008년부터 연평균 17% 성장해 왔으며 2020년 40억달러(4조6,300억원) 규모로 예상된다.

김수열·송민수 박사팀이 공동 개발한 신장암 표적치료제의 작용 메커니즘.김수열·송민수 박사팀이 공동 개발한 신장암 표적치료제의 작용 메커니즘.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