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식량위기 예방을 위한 현실적 대안으로 떠오른 GMO

UN은 2045년에는 세계 인구가 90억 명을 웃돌아 지구가 심각한 식량난에 직면하게 될 것이고 지구온난화, 기상이변 및 신규 병충해 발생으로 인해 작물수확량이 감소하는 등 식량생산의 ‘대재앙’을 지속적으로 경고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미래 식량난 해결 방법으로 곤충 섭취, 배양육 개발, GMO 개발 등의 다양한 대체식량 개발연구가 진행 중이며, 특히 GMO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품종을 개발하는 관행 육종방법은 그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는 GMO 연구·개발 및 안전성 검증에 막대한 투자를 통해 미래 식량전쟁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GMO 연구·개발은 종자전쟁이라고도 불리는데 국제식품신품종보호동맹의 협약에 따라 신품종에 대한 지적재산권이 보호되면서 미국, 유럽 등 거대 종료회사들은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여 신품종 개발 능력을 고도화시키고 있다.

관련기사



우리나라는 벼 외에는 자급률이 높지 않고, 대부분 작물을 수입해야 하는 처지이다. 그래서 많은 전문가들은 식량안보와 식량주권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도 GM기술을 포함한 바이오산업을 미래 생존전략으로서 재조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GMO 완전표시제 논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여전히 국민적 인식이 부정적인 상황에 과연 GMO 연구 및 관련 바이오 산업이 제대로 뿌리내릴 수 있을지 의문이다. 최근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서도 GMO 관련 규제에 초점을 맞춘 정책만이 논의되고 있을 뿐 관련 산업과 학계를 지원하기 위한 논의는 전무한 실정이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