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집단에너지업계, "최소한의 생존권 보장해달라"

경영난에 허덕이는 집단에너지기업들이 산업 정상화를 요구하며 집단행동에 돌입했다.

한국집단에너지협회는 지난 10일 산업자원통상부 앞에서 30개 회원사, 1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집단에너지산업 정상화를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궐기대회를 열었다고 11일 밝혔다.

협회측은 건의문을 통해, 전기와 난방 수요지 인근에 위치한 대표적인 분산전원 시스템인 집단에너지시설이 높은 에너지 효율로 에너지절감과 환경에 기여하는 바가 큰 점, 송전이슈도 최소화 할 수 있는 점 등 여러 편익에 대해 설명했다. 또 정부의 ‘환경과 안전 중심의 에너지정책’ 이행을 위해서라도 집단에너지 기업의 최소한의 생존권을 보장해 달라고 요구했다.


구체적으로 △집단에너지 전담부서 신설 및 확대 개편 △집단에너지 관련 정부 컨트롤타워 단일화 △집단에너지의 특성과 편익을 반영한 전력거래시장제도 개선 △합리적인 분산편익 보상체계 마련 △집단에너지를 신재생 대체 수단으로 인정·열연계 확대 △변동비 경쟁력 확보를 위한 LNG 요금제도 개선 등을 요구안에 담았다.

관련기사



실제 2015년 기준 35개의 집단에너지사업자 중 22개 사업자가 약 1,40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으며, 2016년에는 36개 사업자 중 24개사가 당기순손실이 기록하는 등 집단에너지업계의 경영난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아울러 협회는 지난 5일 난방(열)요금에 대한 제도개선을 산업부에 공식 요청하기도 했다. 협회 관계자는 “현재 집단에너지사업자의 열 판매 요금은 시장지배사업자인 한국지역난방공사의 판매가를 기준으로 최대 10%를 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며 “소규모 사업자들은 저가열원 확보나 수요처 확대 등이 어려워 원가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데 한난에 맞춰 요금이 책정되다 보니 경영난에 허덕일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