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버스 기사 40% 불면증, 13% 낮 졸림증"

홍승철 교수, 경기도 304명 조사

국가 차원서 진단·치료 관리해야

<경기도 버스 운전기사의 불면증 현황><경기도 버스 운전기사의 불면증 현황>




졸음운전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 버스 운전기사 중 40%가 불면증에, 13%가 ‘낮(주간) 졸림증’에 시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낮 졸림증은 일상생활을 할 때도 완전히 깨어 있지 못해 방향감각·운동조절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이 증상이 있는 운전기사는 승객들을 태운 채 졸음운전을 하다 교통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크다.

13일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에 따르면 홍승철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이 경기도 버스 운전기사 304명을 조사한 결과 13%(40명)가 낮 졸림증을 호소했다.

낮 졸림증의 위험요인은 불면증과 수면무호흡증이었다. 밤에 잠을 잘 못 이루는 불면증을 호소한 운전기사는 40%(122명)나 됐다. 중등도 이상의 불면증을 호소한 운전기사도 전체의 10%(31명)였다.


또 운전기사 중 28%(84명)는 수면무호흡증 고위험군이었다. 수면무호흡증은 무호흡(입·코를 통한 호흡이 10초 이상 정지)이 수면시간당 5회 이상이거나 7시간 이상의 수면 중 30회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수면 중 심한 코골이와 주간기면 등 수면장애 증상을 나타내며 저산소혈증, 다양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관련기사



중증 불면증인 운전기사의 낮 졸림증 발생 위험은 불면증이 없는 기사의 6.2배나 됐다. 수면무호흡증 고위험군의 낮 졸림증 발생 위험도 수면무호흡증이 없는 기사보다 3.9배 높았다. 운전기사 중 68%(208명)는 평소 수면의 질이 불량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낮 졸림증의 원인으로 의심돼왔던 수면제 복용이나 고혈압, 당뇨, 심혈관·갑상선 질환 등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 교수는 “버스 운전기사의 수면장애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이들의 근무여건 개선, 선별검사 및 진단·치료를 국가 차원에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 결과는 오는 15일 서울 서초구 가톨릭대 성의교정 의과학연구원에서 개최되는 한국수면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