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김도진 '조직안정' 선택

취임 후 2번째 정기인사

10월 임기만료 부행장 유임

디지털 부문에 영업통 배치

김도진 IBK기업은행장김도진 IBK기업은행장




김도진 IBK기업은행장 이 취임 이후 두 번째 정기 인사에서 조직의 안정을 택했다.


기업은행(024110)은 13일 올 하반기 정기 인사에서 2,200여명의 승진·이동인사를 단행했다. 관심을 모았던 10월로 임기 만료를 앞둔 이수룡 감사와 장주성 경영지원그룹 부행장, 윤준구 글로벌자금시장 부행장, 황영석 여신운영그룹 부행장, 조헌수 리스크관리그룹 부행장 등은 일단 유임됐다.

이 감사와 윤준구·장주성 부행장은 10월이면 최대 3년 임기를 꽉 채운 상황이어서 교체가 예상돼왔지만 이번 하반기 인사에서는 유임됐다. 금융권 안팎에서도 애초 기업은행의 하반기 인사가 파격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돼왔다. 김도진 행장이 취임 이후 두 번째 인사를 하는데다 부행장 교체 수요도 컸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 행장은 이번 인사에서도 조직 안정에 무게를 뒀다. 이 때문에 기업고객그룹 조헌수 부행장과 리스크관리그룹 강남희 부행장 두 명이 자리를 맞바꾸는 선에서 인사폭이 결정됐다.

관련기사



은행 안팎에서는 “기업은행 감사 등은 금융위의 검증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금융위원장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열리지 않은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디지털 그룹의 주축인 기업핀테크채널부와 개인디지털채널부에는 능력 중심의 영업통을 전진 배치한 게 눈에 띈다. 기업핀테크채널부와 개인디지털채널부에는 각각 유희식 부장과 손인표 부장을 선임했다. 두 사람은 지점장 출신으로 핀테크 역량을 현장 경험과 연결할 수 있는 ‘영업통’이다.

조선·해운·전자 등 경기에 민감한 중소기업이 집중된 부산경남·대구·충청·호남여신심사센터에는 부서장급인 수석심사역을 각각 추가 배치했다. 지난해 조선·해운업을 중심으로 진행된 대기업 구조조정의 여파가 올해는 중소기업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에 나서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