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법정기한 5년 안 돼도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일자리 천국' 일본

콜센터·보험·유통사 등

만성 인력부족업계 중심

무기계약직 등으로 전환

비정규직 감소세 가속화

/블룸버그 통신/블룸버그 통신




극심한 인력난에 직면한 일본 기업들이 인재를 붙잡기 위해 비정규직 인력을 정규직이나 무기계약직으로 속속 전환하고 있다.


14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만성적 인력부족에 시달리는 콜센터나 보험사·유통업계 등을 중심으로 계약직 비정규직 사원을 무기계약이나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은 지난 2013년 근속 5년 이상 비정규직 가운데 희망자에 한해 고용계약 기간을 무기한으로 전환하도록 장려하는 개정 노동계약법을 도입, 내년 4월부터는 총 400만명의 비정규직이 무기계약 전환 대상이 된다. 하지만 당장 일할 사람이 부족한 기업들이 인력을 유지하기 위해 법정기한을 채우지 않은 비정규직을 무기계약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대형 콜센터 회사인 ‘벨시스템24’는 약 2만2,000명의 비정규 직원을 법정 근속연수인 5년보다 훨씬 짧은 6개월만 채워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일본생명보험은 근속기간을 아예 따지지 않고 비정규직 계약직 사원 1,000여명을 무기계약직으로 돌렸다. 내년 4월부터는 파트타이머 6,000여명에 대해서도 근속연수 5년을 넘으면 무기계약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일본 유명 백화점인 다카시마야는 판매사원 중 계약기간 1년이 넘은 3,200여명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고 유급휴직 등 근로조건도 정규직 사원과 유사하게 누릴 수 있도록 했다. 다이마루백화점 등을 운영하는 J프런트리테일링도 계약직 사원 약 1,800명 가운데 계약기간이 1년을 넘은 약 1,600명을 무기계약으로 변경하고 그동안 무급 처리됐던 산전·산후휴가 등 장기휴가도 유급으로 다녀올 수 있게 했다.

관련기사



다만 계약직 사원을 무기고용으로 전환했을 경우 임금을 정사원 수준으로 대우하는 비율은 44%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문은 이 같은 근로조건 변경이 기업 입장에서는 인건비 부담으로 이어지지만 필요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한다는 데 방점을 찍은 판단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기업들의 비정규직 무기계약 및 정규직화는 고정비 증가에 따른 수익성 압박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한편 일본 고용시장에서 과거 급속도로 불어난 비정규직 비중은 올해 들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총무성에 따르면 일본 고용인력 중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평균 37.5%에서 지난 5월 36.8%로 떨어진 상태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