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개성공단 재개 필요하지만 진전된 북핵 상황이 먼저"

통일부 "개성공단 자금→핵개발 근거 없어"

조명균 장관 "남북경협 기업에도 지원 노력"

UNFPA선 北 센서스비용 600만弗 지원요청

통일부는 지난해 2월 전면 중단된 개성공단 재가동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북핵 상황 진전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14일 정례브리핑에서 “개성공단이 남북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 조성 과정에서 갖는 가치를 감안할 때 재개할 필요성이 있다”면서도 “다만 재개를 위해서는 비핵화를 위한 대화 국면이 조성되는 등 북핵 상황에 진전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부대변인은 “지난해 정부 발표 시에도 개성공단 자금이 핵·미사일 개발에 전용된다는 확실한 근거자료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씀드린 바 있다”며 개성공단이 북한의 핵·마시일 도발의 돈줄이라는 견해를 반박했다. 홍용표 전임 통일부 장관은 지난해 2월 개성공단 전면 중단 결정을 발표하면서 개성공단 유입자금의 핵개발 전용 가능성을 거론했지만 근거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아울러 이 부대변인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서 전날 논의한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 후속조치와 관련해서는 “부처 간 긴밀히 협의 중”이라고만 할 뿐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관련기사



이런 가운데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이날 남북경협을 금지한 5·24조치(2010년)와 2008년 금강산관광 중단으로 피해를 본 기업 관계자들을 만나 “(지원에) 최대한 성의를 다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통일부는 유엔인구기금(UNFPA) 측에서 한국 정부에 북한 인구총조사(센서스)를 지원하기 위한 비용 600만달러를 요청해왔다고 밝혔다. 북한은 내년 인구센서스를 벌일 계획을 세우고 UNFPA에 도움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UNFPA는 한국 정부가 북한 인구센서스 지원 자금을 부담할 수 있는지 문의한 것으로 관측된다.

통일부 관계자는 “연초부터 이와 관련한 실무적인 협의가 있었다”면서 “앞으로 정부는 관련 부처 협의 등을 거쳐 추진 여부 및 규모 등을 검토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