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與 "철저히 조사 관련자 엄벌" 野 "정치적 의도 의심"

■정치권 반응

청와대가 민정수석실에서 발견된 삼성그룹 경영권 승계 지원 방안 등 박근혜 정부 시절 청와대 문건 300여종을 공개하자 여당은 강력한 수사와 처벌을 촉구했다. 반면 보수 야당은 이 시점에 문건을 공개한 의도에 의문을 제기했다.

김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박근혜 정권과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등이 특별검사의 청와대 압수수색을 그토록 막은 이유를 이제 알게 됐다”며 “발견된 300여종 문건의 실체를 밝히고 개별 사안 하나하나를 면밀히 검토해 국정농단의 시종을 국민들께 소상히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기회에 국정농단이라는 불행한 역사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한 치의 허점도 없이 철저히 조사해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면서 “우 전 수석과 관련자들에 대해 국정농단의 책임을 물어 즉각 구속수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수 야당은 발표 시점에 정치적 의도가 숨어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을 제기하면서도 다소 온도 차를 보였다. 전희경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지난 3일 해당 문건을 발견했음에도 불구하고 14일인 오늘까지 문건에 대해 함구하다가 갑작스럽게 오늘에 이르러 공개한 것에 어떤 정치적 고려가 있었던 것인지 의심스럽다”면서도 “관련 자료들이 검찰 수사에 필요한 사안일 경우 적법한 절차대로 처리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전지명 바른정당 대변인 또한 “청와대가 재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건을 현 시기에 발표한 것은 그리 좋아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오신환 수석대변인은 “최순실 국정농단 특검에서 민정수석실 압수수색이 불가해 수사에 차질이 있었던 만큼 이제는 성역 없는 압수수색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박 전 대통령과 거리를 두는 데 주력했다.

한편 국민의당은 양순필 수석부대변인을 통해 “국정농단 사건의 실체적 진실을 밝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면서도 “오직 실체적 진실 규명에만 이용돼야 하고 새로운 정쟁의 대상이 돼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