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연차휴가 다 쓰면 경제효과 29조

소나타 46만대 생산효과 맞먹어

직장눈치·업무과다·인력부족에

실제론 부여일수 절반 밖에 안써

연차 사용 경제적 효과




연차휴가를 모두 사용할 경우 29조원대의 생산유발 효과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6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한 휴가 사용 촉진방안 및 휴가 확산의 기대효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상용근로자 1,400만명이 부여된 연차휴가를 모두 사용할 경우 29조3,0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대자동차 소나타 46만대 또는 삼성 갤럭시노트 4억1,670만대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와 비슷하다. 생산유발 효과뿐 아니라 21만8,000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발생하고 소비 지출액도 16조8,0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임금근로자의 연차휴가 평균 부여 일수 15.1일 가운데 사용 일수는 평균 7.9일로 52.3%의 사용률을 보였다. 연차휴가를 모두 사용하지 못한 장애요인으로는 직장 내 분위기가 44.8%로 가장 많았고 업무 과다나 대체 인력 부족(43.1%), 연차휴가 보상금 획득(28.7%)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근로자들은 부여된 연차휴가를 모두 쓰는 사회적 분위기가 확산될 경우 현재보다 3.4일 늘어난 11.3일을 휴가로 사용할 의향을 보였다. 또 자유롭게 휴가를 사용하는 조직문화 확립 시 10.84일, 미사용 연차 금전 보상을 폐지할 경우 10.79일을 휴가로 사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인들이 휴가를 모두 사용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고 이들이 국내 여행에 더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월 24일부터 30일까지 만 20~59세 민간기업·공공기관 근로자 중 재직기간 1년 이상인 임금 근로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중소·중견·대기업 인사·복지 담당 중간관리자 심층면접을 통해 이뤄졌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