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이관섭 한수원 사장 "신고리 5·6호기 영구중단 없도록 노력"

"책임소재·보상 문제는 공론화위 소관"

이관섭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17일 오전 세종시 한 음식점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이관섭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17일 오전 세종시 한 음식점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관섭(사진)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17일 “(건설이) 일시중단된 신고리원전 5·6호기가 공론화 과정에서 영구중단으로 결론 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사장은 이날 세종시에서 간담회를 열고 “지금 짓고 있는 신고리 5·6호기에 1조6,000억원이 들어갔고 공사가 취소되면 법적으로 피해보상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앞으로 3개월간 이어질 공론화 기간에 국민에게 원자력발전이 안전하다는 점을 충분히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사장은 “정부가 일시중단 요청을 한 직후부터 1,000여명의 현장 근로자들의 작업은 사실상 중단된 상태였다”며 “협력업체의 손실을 줄이고 근로자들의 동요를 막기 위해 신속하게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봤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사회는 공공기업의 특성과 법률적 검토 등을 고려해 정부의 일시중단 요청을 수용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영구중단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사장은 “공론화 결과가 영구중단으로 나오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는 것이 한수원의 기본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다만 어떤 식으로 국민들을 설득할지 구체적인 계획은 언급하지 않았다. 또 보상 문제, 책임 소재 문제 등 논란의 소지가 있는 이슈에 대해서도 공론화위원회의 소관이라며 구체적인 해법을 내놓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공사 중단 결정이 나오면 손해를 보는 업체들은 누구에게 보상을 요구해야 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 사장은 “여러 가지 상황을 가정해서 얘기하는 것은 별로 현명한 대답이 아닌 것 같다”며 “공론화위원회에서 건설 중단에 따른 손실과 보상 방안 등을 고려해 최종적인 결정을 내릴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한수원은 3개월간의 일시중단에 대한 협력업체 보상계획을 담은 공문을 이미 보냈고 이에 협조를 얻어 일시 건설 중단에 대한 마무리 공정을 오는 8월 말까지 진해할 방침이다. 이 사장은 “공론화 결과가 건설을 재개하는 것으로 나온다면 원전의 안전을 위해 철근이 녹슬지 않게 하는 등 3단 기초공사는 마무리해야 한다”며 “공사는 진척이 안 되지만 품질을 유지하는 작업을 8월 말까지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수원 노조는 이 사장의 최종적으로 영구중지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발언에 대해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다양한 방식의 대정부 투쟁을 예고했다. 한수원 노조 관계자는 “일시중단은 정부가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 한수원에 공을 넘긴 것이지만 영구중단은 공론화 과정을 거쳐 정부가 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결정되는 부분이라 한수원 이사회가 관여할 수 있는 부분이 없을 것”이라며 “정부 결정 전에 정부나 청와대 항의방문, 대통령 면담 요청, 대규모 집회 등 다양한 방법의 투쟁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