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히브리대, 기술 상업화로 23조 벌었다"

벤사손 히브리대 총장 성공요인으로

연구 인센티브·산학 협력 등 꼽아

메나헴 벤 사손 히브리대학 총장./사진출처= 대학 홈페이지메나헴 벤 사손 히브리대학 총장./사진출처= 대학 홈페이지




“이스라엘 히브리대는 연구를 통한 기술 상업화로 수년간 미화 200억달러(약 23조원)가량을 벌어들였습니다.”


호주 일간 오스트레일리안파이낸셜리뷰(AFR)에 따르면 히브리대의 메나헴 벤사손(사진) 총장은 17일 시드니대에서 열린 의학과 과학 연구 상업화 워크숍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날 연설에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대학 설립자 중 한 명이라며 “우리 대학의 유전자(DNA)에는 특별한 것이 있다”고 자랑했다.

그는 히브리대가 연구와 그로 인한 상업화에서 성공한 원인을 대략 세 가지로 꼽았다.


우선 연구자들이 적극적으로 상업화를 고려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승진과 관련해 다른 대학들처럼 논문 등의 학문적 업적을 계산할 뿐 아니라 특허도 포함하는 식이다.

관련기사



두 번째로는 대학과 기업 간의 긴밀한 협력으로 기술을 발전시킨다.

세 번째로는 학생들에게 연구에 참여할 기회를 주는 한편 기업에서 실제적인 경험을 쌓게 해 현실 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런 분위기에 따라 지난 1964년 대학 내에 기술이전기구인 ‘이숨연구개발(Yissum Research Development)’이 설립된 후 2,600건의 발명으로 9,300건의 특허가 등록됐다. 800건의 기술 라이선스가 있으며 110개 회사가 분사했다.

대표적인 성공사례로는 3월 미국 인텔에 인수된 자율주행 기술 업체 모빌아이가 있다. 모빌아이는 무려 미화 153억달러(약 17조3,000억원)에 팔렸다. 모빌아이의 기술은 히브리대가 개발했으며 이숨연구개발이 이를 상업화했다.

그는 또 히브리대의 기술을 토대로 이숨연구개발이 상업화한 제품들은 연간 미화 20억달러(약 2조3,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상품으로 나온 것만도 600개에 달한다고 소개했다.

벤사손 총장은 히브리대의 성공 요소를 매우 높은 입학 기준과 함께 이스라엘 학부생들의 학업이 보통 군 복무를 마친 뒤인 23~24세의 성숙한 나이에 시작되는 것을 꼽았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