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간 분화 수준 정량적으로 예측 가능해진다

국내 연구진이 인간 간세포 분화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고분화 간유사체 개발이 가속화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조현수·정초롱·김남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 연구팀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생명연의 BIG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고, 생물학 분야의 세계적 저널인 헤파톨로지 지난달 23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되었다.

최근 간질환 연구와 신약개발을 위한 간유사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간은 해독작용, 단백질 합성, 양분 저장 등 물질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간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경우 간염, 간경변, 간암 등의 질병이 발병하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체내로 흡수된 약물의 대부분은 간에서 분해되고, 또한 약물에 의한 독성에 의하여 간이 손상되기도 한다. 따라서 간은 신약 효능 및 독성 시험을 수행할 때에 가장 중요한 장기이다.

관련기사



간을 모방한 간 유사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및 다양한 인간세포를 이용한 간세포 분화 기술 개발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간 유사체의 활용분야가 질병의 기전연구로부터 신약개발로 확대됨에 따라 고품질의 간유사체 제작 및 평가를 위해 새로운 정량적 평가 시스템 및 알고리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현재까지 제작된 간 유사체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간 특이적 단백질 발현 혹은 효소의 활성을 시험하여 간 유사체 분화와 기능을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하지만 각 실험실에서 제작된 간유사체의 정성적 평가는 기준이 각각 달라 품질의 정량 평가가 어려웠다.

생명연 연구팀은 차세대 염기분석법(NGS)기반 인간 20개 장기 조직의 전사체 분석을 통해 ‘간유사체 평가 패널 및 알고리즘’을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간유사체의 분화도 측정 및 정량적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생명연 연구팀은 “이번 연구 성과는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장기유사체의 정량적 분화도 및 성숙도를 측정하는 기반 기술을 개발한 것”이라며, “앞으로 다양한 조직에 대해 분화 평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를 통해 줄기세포 기반 세포 치료제 개발 및 약물 스크리닝용 대체조직 모델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조현수 생명공학연구원 박사 /사진제공=생명공학연구원조현수 생명공학연구원 박사 /사진제공=생명공학연구원




정초롱 생명공학연구원 박사 /사진제공=생명공학연구원정초롱 생명공학연구원 박사 /사진제공=생명공학연구원


김남순 생명공학연구원 박사 /사진제공=생명공학연구원김남순 생명공학연구원 박사 /사진제공=생명공학연구원


김대수 생명공학연구원 박사 /사진제공=생명공학연구원김대수 생명공학연구원 박사 /사진제공=생명공학연구원


유제운 생명공학연구원 박사 /사진제공=생명공학연구원유제운 생명공학연구원 박사 /사진제공=생명공학연구원


손미영 생명공학연구원 박사/사진제공=생명공학연구원손미영 생명공학연구원 박사/사진제공=생명공학연구원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