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고위험성 병원균 관리 기준 마련해야… 보톡스 균주 논란 전환점 맞나?





일명 ‘보톡스 주사’로 불리는 보툴리눔톡신과 같은 고위험성 병원균은 일반적인 균주와 다른 방식으로 엄격하게 관리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에 따라 보툴리눔톡신 균주 출처를 둘러싼 국내 보툴리눔톡신 제조사들 간의 갈등도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 전망이다.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는 지난달 말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에서 ‘보툴리눔 독소의 생산 기술 현황과 생산 방식에 따른 관리체계의 보완점’을 주제로 토론회를 진행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잠피에트로 스키아보 국제신경독소학회장은 “영국은 상업적인 목적이 아니더라도 보툴리눔톡신을 생산하는 경우 균주의 입수 경위와 동정 정보를 상세하게 제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토론자로 나선 이하나 고려대 환경보건학과 교수는 “세균을 분리한 뒤 특성을 조사해 해당 생물이 속하는 분류군을 결정하는 작업이 동정인데 병원균 역시 동정이 중요한 요소”라며 “세균의 종 단위 이하 동정에는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정보가 표준화된 가장 좋은 지표”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토론자들은 고위험 병원체로 만든 의약품은 생산 균주의 전체 유전체 염기서열에 의거한 동정 정보과 배양 조건 정보 등 생산물의 특성을 규정하는 보다 명확한 정보가 관리 당국에 제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고위험성 병원균주의 염기서열을 관리하면 균주 출처를 둘러싼 논란도 자연스레 해소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메디톡스(086900)는 지난해 말부터 대웅제약(069620), 휴젤(145020), 등 경쟁사가 자사의 보툴리눔톡신 균주를 도용했다며 균주 출처를 공개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경쟁사들은 메디톡스의 주장에 자체적으로 균주를 확보했다 팽팽히 맞서고 있다. 메디톡스는 지난달 미국에서 대웅제약을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하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정상적인 허가를 받은 보툴리눔톡신 제품의 효능과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지를 검토할 뿐 균주 출처는 관여할 사안이 아니라고 선을 그은 바 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의약품 출시에 앞서 생산업체가 보유한 고위험 병원체를 관리감독기관에 위탁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콘스탄틴 이치엔코 뉴욕대 교수는 “보툴리눔톡신은 생물학 테러에 쓰일 수 있는 위험한 병원균이기에 매우 신중하게 다뤄야 한다”며 “상세한 균주 정보뿐 아니라 해당 균주를 위탁해서 관리하는 것도 의미 있는 조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