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단독] 정부 '火電자료' 못믿겠다는 한전·발전5사

‘한국형 미세먼지 측정·평가모델’ 개발 美에 용역 의뢰

한국전력과 발전5개사(서부·남부·동서·중부·남동발전)가 새 정부의 급격한 에너지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전력연구원(EPRI)에 ‘한국형 미세먼지 측정·평가 모델’ 개발 용역을 의뢰하기로 했다. 국제적으로 공신력 있는 기관에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원인에 대한 분석을 맡겨 탈(脫)화전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목적에서다. 이와 함께 한국수력원자력 노조는 신고리 원전 5·6호기 일시중단을 의결한 한수원 이사회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내기로 하면서 발전공기업들이 새 정부의 급격한 탈원전·탈화전 정책에 공동 대응하고 있다.


18일 발전업계에 따르면 지난 5월 발족한 ‘한전-발전 5사 미세먼지대책협의회’는 오는 9월 미국 EPRI에 한국 실정에 맞는 미세먼지 측정·평가 모델 개발 용역을 맡겨 21개월간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발생원인을 심층 분석할 예정이다. 그동안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이 우리나라의 배출원별 미세먼지 영향을 분석해왔지만 발전사들이 직접 분석하겠다고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미세먼지 배출원별 영향이 분석단체마다 오락가락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국민들과 정책 입안자들은 화력발전소가 미세먼지의 주범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아 발전사들이 직접 조사해보기로 합의했다”며 “EPRI가 방대한 미세먼지 측정·평가 관련 데이터와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어 중국 등 외부 영향과 국내 화력발전소·제조공장 등의 미세먼지 영향에 대해 좀 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결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발전사들이 직접 나선 것은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과 무관하지 않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의 연구 결과 2.5나노그램 이하 미세먼지(PM2.5) 배출량의 5%만 에너지 산업에서 배출됐는데도 정부는 석탄화력발전소 퇴출을 공식화했기 때문이다. 발전사들은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는 대로 정부와 국민들에게 알리고 에너지 정책에서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