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포스코 '스마트 팩토리' 전 계열사로 확대한다

재무·인사 등 경영분야도 접목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19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스마트 포스코 포럼 2017’에 참석해 포스코가 자체 개발한 고유 플랫폼인 ‘포스프레임(PosFrame)’을 직접 작동해보고 있다. 포스프레임은 포스코의 조업 노하우에 정보통신(IT) 기술을 접목해 개발한 맞춤형 스마트 플랫폼이다. /사진제공=포스코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19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스마트 포스코 포럼 2017’에 참석해 포스코가 자체 개발한 고유 플랫폼인 ‘포스프레임(PosFrame)’을 직접 작동해보고 있다. 포스프레임은 포스코의 조업 노하우에 정보통신(IT) 기술을 접목해 개발한 맞춤형 스마트 플랫폼이다. /사진제공=포스코




모든 사업장의 스마트화를 추진하는 포스코가 스마트 기술을 그룹 전체 계열사와 협력사로 확산한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19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스마트 포스코 포럼 2017’에서 “스마트 팩토리 모범 사례를 제철소 전 공정으로 확산하고 나아가 재무·인사·구매 등의 경영 분야에도 스마트 기술을 접목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거둔 성과를 계열사는 물론 고객사까지 적극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현재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 기술을 생산 공정에 적용하는 스마트 팩토리를 시범 운영하고 있다. AI 기술을 통해 도금량을 제어하는 ‘도금량 제어 자동화 솔루션’이 적용된 생산 현장이 대표적이다. 이전까지는 수동으로 도금량을 제어했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편차가 발생했지만 AI를 통해 자동 제어가 가능해져 품질을 균일화하고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됐다. 포스코는 지난해부터 이러한 스마트 기술을 적용,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 과제’ 141건을 발굴해 157억원을 절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포스코의 스마트화를 총괄하는 박미화 포스코 정보기획실장은 “앞으로 중소기업 제조현장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포스코형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모델을 개발하는 한편 포스코가 개발한 스마트 플랫폼인 ‘포스프레임(PosFrame)’을 경량화해 중소기업 맞춤형으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빅데이터와 AI를 적용한 우수 스마트 과제도 소개됐다. 후판(두께 6㎜ 이상의 두꺼운 철판)제품의 변형 상태를 빅데이터로 수집해 품질을 개선하는 철강생산 분야 과제나 가상건설로 실제 시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설계 오류 등을 예측하는 포스코건설의 과제가 공유됐다. 이어 이날 초청된 장병탁 서울대 교수 등 국내 AI 연구를 주도하는 전문가들은 ‘제조업에 AI를 적용해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전략’에 대해 토론했다. 행사에는 포스코 임직원 중소기업 고객사, AI 관련 교수 등 700여명이 참석했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